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미술교육에서 우리나라 학생 대상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74

영문명
A Study on the Need for Korean Students to tak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형구(Rhee, Hyoung Koo)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7券 1號, 237~25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문화교육은 다양한 민족, 인종, 계층, 성별, 지역, 종교 등에 의한 문화적 차이로 발생하는 편견과 오해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다른 문화를 이해하여 서로 소통하여 공존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교육 이라 할 수 있다. 미술은 문화를 이해하는 수단이며 문화는 미술로 유지, 전수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의 사소동의 수단이 된다. 미술가는 작품으로 자신이 속한 의 문화를 표현한다. 미술품이 문화를 나타내고 전달하는 역할 때문에 다문화교육에서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문화미술교육은 다양한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그 문화 들에 대한 지식을 얻어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 다양한 문화와 인종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의 해결, 일상생활에서 공존하는 능력, 문화의 상대적 다양성을 인정하기 위하여 다문화미술교육이 필요하다.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은 해소하기 위하여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다수자로 하여 그들 이 소수자 입장에서 다른 문화를 이해한다면 소수자의 문화를 존중하고 소수자도 다문화사회의 구성원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사회에서 서로가 공동체 라는 긍정적 인시각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우리 나라 학생을 교육의 대상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학교에서의 다문화미술교육은 학생의 의사나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지식 중심의 주입식 교육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이다. 그러나 박물관에서 교육의 대상에 문화, 민족, 계층 구별 없이 개별적인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문화유산이 있는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이 다문화미술교육에서 활용 할 수 있는 좋은 장소가 될 수 있다. 다양한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의 습득을 학교교육에서 한다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한 다문화미술교육은 박물관에서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s different from that in Western nations where formed gradually over for a long time through immigration, exile and colonization. However.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s caused by the rapid ri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foreign workers, and foreign resident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Therefore, there are also growing interes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focused on adjustment education of the minorities, rather than changes of the majority's perception of multiculture. Under the circumstance which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be participate in Korean culture in trouble. to take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a chance not only to express themselves. but also to raise their life quality to a high level. We should proceed to respect for other culture. equality, openness. interdependency. human rights. and resistance to unreasonable discrimination or repression. We should get out from the closed-minded nationalism and open the age of global village and social integration with the multicultural families. To understand multiculture in our society and raise the view of diversity,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should contain Korean students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students are demanded desirable attitudes to respect values from various cultures recognition and various cultures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concern and understanding on more various nations and races to Korean students as well as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the museum has to exhibit cultural properties and relics close relationship with other different cultural factors and various social issues to the extent reaching the issues of local community, human rights and environment from other cultures lie in our cultur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the museum can be more effective educational venue than any other classrooms, because they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cultural properties and relics which are impossible in classrooms. Through cultural properties and relics in the museum, it can play a role of raising the critical perspective together with understanding our cultur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the museum is an important factor in escaping the self-centered world view and in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variety of values. The museum educational art programs for Korean students enable to embrace the culture difference, to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multicultural famil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우리나라 다문화미술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구(Rhee, Hyoung Koo). (2013).다문화미술교육에서 우리나라 학생 대상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7 (1), 237-259

MLA

이형구(Rhee, Hyoung Koo). "다문화미술교육에서 우리나라 학생 대상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7.1(2013): 237-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