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 연구

이용수 531

영문명
A study on development of space design contents for junior high school digital art text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최혜원(Choi, Hae Won) 박은덕(Park, Eun Deo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7券 1號, 153~17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발상 교수 • 학습 유형인 앵커드 교수 모형, 협력적 교수 • 학습 유형인 Co-op Co-op 학습, 문제해결 교수 • 학습 유형인 PBL을 참고 모형으로 하여 중학교 1 ~ 3 학년 미술 교과 중 공간디자인 단원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저작 도구로는 F-desk 의 Pagemaker2를 사용하였다. 콘텐츠의 내용은 학습 및 혁신 역량에 해당하는 창의성 과 혁신성, 의사소통 및 협동 •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증진을 목표로 구성하고 프로그램 개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의 편의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콘텐츠의 타당 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장 적용성과 교육 효과가 기존의 교과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o develop the digital contents which can be used in the art class of junior high school. the learning subject, learning materials and learning tool of smart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first. The elements which should be also included in digital textbook were examined through the concept arrangement on textbook. and compared it with the property of digital textbook and drew the uppermost limit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n digital textbook. After then, the design area which appears in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 revised in 2007 in Korea was analyz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omestic and overseas digital textbook and by making it into the adhered points. As the development of contents was the core of the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stated in textbook were analyzed in detail. Based on this course of study. the 'space design' unit in middle school design area was developed by being made in the style of digital textbook. The development of contents had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in smart education and by suggestion three types of teaching-learning and creating a scenario of smart education environ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스마트 교육의 교육·학습 유형
Ⅲ. 디지털 교과서 공간디자인 콘텐츠 개발
Ⅳ.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의 타당성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원(Choi, Hae Won),박은덕(Park, Eun Deok). (2013).스마트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 연구. 미술교육논총, 27 (1), 153-176

MLA

최혜원(Choi, Hae Won),박은덕(Park, Eun Deok). "스마트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 연구." 미술교육논총, 27.1(2013): 153-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