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이용수 4774

영문명
Possibilities and Prospects of STEAM Education based on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Art: Principles of STEAM Education in Korea and Designing Its Practice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정효(Kim, Jeonghyo) 안도 쿄우이치로(Ando, Kyoichiro)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7券 1號, 123~15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조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육성과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STEAM 교육은 종래 STEM 교육에 Arts 를 포함시킴으로써 과학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STEAM 교육은 이상적인 교육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나, 한편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그 이념을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가는 미해결의 과제로 남아 있다. 또한, STEAM 교육은 과학 중심의 STEM 교육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예술 교육의 의의를 충분히 이해하지 않은 채, 과학 교육을 보완하고 충족시키는 역할로 한정 짓는 가능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실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STEAM 교육의 교육과정/프로그램 편성과 수업 구상의 장연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수업의 구상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교과 융합의 이념을 구상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의 결과, 첫째, 현재 구상된 STEAM 교육은 교육 이념에서 수엽 구상의 단계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커다란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다. 둘째, 교과 융합이란 학습 내용의 융합이 아닌, 각 교과의 연계로서 구상되고 있다. 셋째, 미술 교육은 과학적 사고를 최종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서의 위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STEAM 교육에서 미술 교육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은 채 수업 실천이 이루어지는 배경을 현상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새로운 STEAM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STEAM education alms at educating creative and well-rounded citizens. Originally it started with an effort of reforming science education by integrating arts into STEM educ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cience education which has focused too much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STEAM education has been faced with some challenges in its initial stage. One of the challenges is about how to putting the ideals into school curriculum even though STEAM education was intended to realize the educational ideals. the other is about the fact that STEAM educational practices have been implemented withou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uthentic values of the arts in STEAM education: the roles of the arts can be acknowledged merely as supplementary for the limitations of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STEAM educational ideals of fusing artistic ways of thinking into the other subjects of STEAM have been represented i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onsiderable inconsistency occurred between its educational ideals and practices: second, the integration of subjects has been misunderstood not as integration of learning contents. but as a mere combination of subjects: third. art education has been expected to play an instrumental role for sustaining the achievement of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proposed new ways to explore possibilities of STEAM educ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backgrounds in which STEAM practices have been being implemented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reason the arts need to be integrated into STEAM education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목적과 방법, 구성
Ⅲ. 세계 융합교육 정책의 현황
Ⅳ. STEAM 교육의 선행연구와 문제의 제기
Ⅴ. 한국 STEAM 교육의 원리
Ⅵ. STEAM 교육원리에 기초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검토
Ⅶ. STEAM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융합교육의 재검토
Ⅷ.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효(Kim, Jeonghyo),안도 쿄우이치로(Ando, Kyoichiro). (2013).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미술교육논총, 27 (1), 123-152

MLA

김정효(Kim, Jeonghyo),안도 쿄우이치로(Ando, Kyoichiro).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미술교육논총, 27.1(2013): 123-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