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 근대 산수화의 조형성 고찰

이용수 1060

영문명
A consideration of formative awareness in Korean ink-and-wash painting: focusing on the paintings of Noh, Soo Hyun, Lee, Sang Bum and Byun, Kwan Sik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광수(Lee Kwang Su)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7券 1號, 205~2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 전환기에 한국의 산수화는 전통의 계승과 현대성의 표출이라는 문제에 직면한다. 게다가 일제 강점기와 큰 대화라는 역사적 소용돌이에 전통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은 오늘 날에도 여전히 한국화의 담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 조선의 진경산수를 계승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개성과 양식을 확립한 화가로 노수현, 이상범, 변관식을 거론하고 있는데, 이 세 화가는 문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예술 세계를 확립하고 근대 한국 산수화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화단은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상황과 해방 후 서구 문물의 충격 속에 그 전통성을 일정 부분 상실하기도 하며 중국이나 일본과 다른 양상이 전 개되고, 화론에 대한 답론은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못한 부분이 있기도 하다. 하지만, 그들의 예 술에 대한 열정은 한국화단에 소중한 족적을 남기고 있으며, 그들 의 변화되는 화풍에서 충분히 한국화의 조형적 특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이 세 대가의 예술적 성과와 업적은 그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이미 소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시각을 달리하여, 의경론(意境論)을 통해 그들의 예술관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의경 이란 용어는 우리에게 아직은 생소할 수도 있지만, 점차 확대 되는 추세이고 중국의 경우 이미 예술철학의 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어, 이 이론을 통한 고찰은 그들의 조형 의식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영문 초록

Korean modern landscape painting has the same way of the periodically changing period because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inflow of Western painting method. etc. In the stream. representative painters creating modern landscape paintings initiatively can be Noh. Soo Hyun. Lee. Sang Bum and Byun. Kwan Sik. They have common things that they were educated direclty by Jo. Suk Jin(趙錫晉. 1885-1920) and An. Joong Sik (安中植. 1861-1919) who are representative landscape painter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ir root is in the traditional style of painting and they show innovative style of painting by introducing realistic viewpoint activel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study will consider formative awareness of Noh. Soo Hyun. Lee. Sang Bum and Byun, Kwan Sik who are representative painters of modern landscape painting through the Yi Jing factor shown their paintings. oh, Soo Hyun expressed Yi Jing landscape through his ideal landscape and Lee. Sang Bum and Byun. Kwan Sik expressed traditional landscape with the most creative method of expression by exploring real landscape or sutra landscape. Of course, they shouldn't manufacture works by recognizing Yi Jing or aesthetic concept at that time and they don't seem to discuss directly Yi Jing through the painting discussion like Chinese painters. Therefore. it can be difficult to substitute the theory of Yi Jing uniformly, but it was judged to consider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finding Yi Jing factors sufficiently from their painting achievements and working characteristics. It is related to the tradition of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to some degree.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common thing that three painters created inner warmth newly. And. it's significant that they opened a new prospect of Korean modern landscape painting by sublimating it in their own archetyp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노수현의 이상(理想)산수
Ⅲ. 이상범의 전형(典型)산수
Ⅳ. 변관식의 반골(反骨)산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수(Lee Kwang Su). (2013).韓國 근대 산수화의 조형성 고찰. 미술교육논총, 27 (1), 205-236

MLA

이광수(Lee Kwang Su). "韓國 근대 산수화의 조형성 고찰." 미술교육논총, 27.1(2013): 205-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