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쟁점에 관한 소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28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s and Agenda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al Art Curriculum: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김선아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0집,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본격적인 현장 적용을 앞둔 현 시점에서 미술과 교육과정의 해석과 실행에 관한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총론에서 요구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방향을 어떻게 미술 교과의 특수성 안에서 이해하고 반영할지의 과제를 마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시 개정을 거듭해 온 미술과 교육과정의 쟁점을 ‘국가’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되돌아보고, 미술 교과에 적합한 교육과정 이론을 고찰하여 미술과의 특수성을 반영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문헌 분석을 토대로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체제와 총론-각론 교육과정의 관계 속에서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을 고찰하고, 예술적 교육과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기초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내용 체계를 분석하여, ‘교육내용에서 수행 중심으로의 전환’과 ‘학문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전환’의 2가지 주요 변화를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쟁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체제적인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과정을 조망함으로써, 교과의 특수성을 반영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방향을 논의할 수 있는 어젠다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학생의 상호작용 속에서 순환적으로 구성되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도하는 교사의 교육과정 읽기를 돕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egins, there is a demand for the discourse on the interpretation and execution of the National Art Curriculum. Particularly, there is a challenge in integrating the general dire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le properly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appl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at reflect the uniqueness of art by examining suitable curriculum theories for art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about the concept of artistic curriculum as an alternative theory that reflects standardization issues in art education, and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the Art Curriculum at the teacher’s level. The research results are two-fold: firstly, the need to restructure the Art Curriculum focusing on performance in art-making; secondly, the shift from the disciplinary structure to learners is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it presents an agenda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of art. Furthermore, the result can serve as a resource to assist teachers in interpreting curriculum as they attempt to reconstruct the Art Curriculum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a cyclical process.

목차

I. 서론
Ⅱ. 국가 교육과정의 성격
Ⅲ. 미술과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Ⅳ.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쟁점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아. (2024).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쟁점에 관한 소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 1-25

MLA

김선아.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쟁점에 관한 소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2024):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