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포용성 재개념화: 타자 개념을 중심으로

이용수 92

영문명
Research on Reconceptualization of Inclusiveness in Art Curriculum: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other”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이하림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90집, 165~19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0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하게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포용성 교육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으나, 포용성이란 무엇이며, 포용성은 어떻게 획득되는가에 대한 본질적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포용성 개념에 대한 본질적 논의가 이루어졌을 때 배움의 장에서 질적 상호작용이 포용성을 향하도록 관찰, 판단,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포용성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범주화된 개념을 제거했을 때 드러나는 최초의 구별인, ‘자아’와 ‘타자’에 대한 사유로부터 시작하여 포용성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데카르트-하이데거-레비나스에 이르는 타자철학을 분석하였고,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포용성의 재개념화를 위해 헤겔의 ‘주인-노예 변증법’에 따른 보편적 자기의식 성취 과정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아와 타자는 주체성과 이질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원적 가치를 가진 세계에 대해 끊임없이 이해해 나가는 과정에 함께 놓여 있는 존재로 이해될 수 있다. 둘째, 미술교육에서 포용성 개념에 있어 작품을 공유하고 소통하며 미술활동 과정을 성찰하는 과정은 핵심적 역할을 한다. 셋째, 포용성 개념에 있어 ‘사물’은 예술적 성취를 이루게 하는 능동적 역할을 하며 자립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미술교육의 장에서 학생들은 끊임없이 서로의 활동을 들여다 보고 공유하고 대화하며, 과정을 성찰하는 일로 채워감으로써 포용성 교육에 있어 미술교육의 고유한 방식과 역할을 확고히 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nurturing individuals who are proactive, inclusive, and creative. Accordingly, inclusiveness in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in the art curriculum, but there is a relative lack of essential discussion on ‘what inclusiveness is’ and ‘how it is achieved’. Starting from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essence of inclusiveness in education, starting from the thought of 'self' and 'the other', which is the first distinction that appears when all categorical concepts in inclusiveness in education are removed. To this end, the philosophy of the other from Descartes-Heidegger-Levinas was analyzed, and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the process of achieving universal self-consciousness according to Hegel's 'the dialectic of master-slave' was explored to reconceptualize inclusivity i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self and the other have subjectivity and heterogeneity, and can be understood as beings who exist together in the process of constantly understanding a world with pluralistic values. Second, the process of sharing and communicating works and reflecting on the art activity process plays a key role in the concept of inclusiveness in art education. Third, in the concept of inclusiveness, ‘objects’ play an active role in achieving artistic achievement and have an independent position.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students will constantly look into each other's activities, shar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fill themselves with reflection on the process, solidifying the unique method and role of art education to educate inclusiveness.

목차

I. 서론
Ⅱ. 포용성은 어떻게 획득되는가?: 타자의 개념 고찰
Ⅲ. 헤겔의 보편적 자기의식의 사유에 근거한 포용성 재개념화
Ⅳ.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포용성 재개념화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하림. (2024).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포용성 재개념화: 타자 개념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 165-194

MLA

이하림.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포용성 재개념화: 타자 개념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2024): 165-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