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전기 漢陽의 지세 인식과 風水 논란 및 설화

이용수 654

영문명
Perception of the Han’yang Capital City’s Landscape Figures(地勢) in the Early Half Period of Joseon, Reflected in Geomancy(風水)-Related Debates and Tale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장지연(Jang, Ji-yeo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46집, 3~3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한양의 지세 인식이 시기에 따라 변화한 양상과 풍수 논란의 주제와 설화가 변화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읍을 정하던 건국 초기와, 어느 정도 도성으로서 자리가 잡힌 세종대~임진왜란 이전, 임진왜란 이후 등 시기에 따라 한양에 대한 지세나 풍수에 대한 파악은 사뭇 달라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물길이 주로 문제되던 건국 초기와는 달리, 새로운 主山이 제기되면서 풍수적 논제는 山으로 옮겨 갔다. 이렇게 논제가 바뀐 데에는 고려 시기 이래 큰 영향을 미쳐온 󰡔道詵秘記󰡕에서 벗어나, 새로이 지세를 파악하려고 시도된 데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산세에 관한 풍수 논란은 세종대 당대에는 기존의 주산인 白岳을 그대로 인정하는 선에서 종결되었으나, 그 과정에서 동쪽의 지세가 허결하며 주산 좌우의 산세가 불균형하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동쪽 산세가 낮게 된 것은 건국 초 도성이 축소, 건설되었기 때문이었다. 한양 관련 풍수 설화는 선조대 임진왜란을 경계로 한 차례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의 설화들은 고려 南京에 관한 내용이 다수로서 왕조의 건국을 정당화하는 내용을 주로 담고 있으며 無學대사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이에 비해 전란 이후의 설화들은 전란의 원인이나 이를 예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풍수승으로는 도선이 주로 거론되었으나 전란무렵에는 건국 초기의 神僧으로서 무학대사의 상이 다양하게 만들어졌다. 현재까지도 익숙히 전하는 무학이 등장하는 설화들은 임진왜란 무렵부터 다양하게 유행한 것이었다. 그러면서 오히려 한양이 고려 시기 남경이었다는 역사적 사실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점점 사라지게 되었다. 전란 이후에는 풍수 설화에서도 山勢가 특히 문제시되었는데, 이는 산세의 결함이 성곽의 결함으로, 그리고 그것이 전란을 제대로 방어할 수 없었던 원인으로 연상되었기 때문이었다. 세종대 주산논쟁과 이를 통해 부각된 동쪽의 지세가 허결하다는 문제점 등은 풍수 설화 속에서 인왕산주산설 등을 불러 일으킨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한양의 지세나 풍수 인식도 역사적으로 변화한 것이었고 17, 18세기를 거치며 더욱 다양한 설화로 변주되었다. 그러나 후기에는 풍수적 결함에 대한 여러 설화와 동시에 한양의 풍수가 얼마나 훌륭한지를 입증하는 신비적 속설이 함께 유행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지점들은 한양의 중심성이 더욱 강화되면서 도읍의 심상적 위력이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확고히 자리잡았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Joseon people’s perception of the figures and features of the landscape of Han’yang(漢陽),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changed over the passage of time, and how the discussions of geomancy issues and themes of related tales changed as well. Through such changes, we can see that the people’s view upon the capital landscape indeed changed over time, from the time of the dynasty’s foundation when the capital city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to the time of King Sejong’s reign and until the 1590s war with the Japanese when Han’yang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the central capital of the country, and finally through the post-Japanese war period and beyond. In the early days, the water ways were the primary issue that was discussed, but later, people’s interest shifted to the issue of mountains(primarily the “Main Mountain[主山]”), and geomancyrelated discussions ensued. This shift in particular signified the Korean people’s escape from「Doseon Bigi(道詵秘記)」, which had up until then considerable influences upon the Goryeo people’s view of the country. This new ‘mountain’ issue was part of the people’s effort to analyze the landscape figures of the countr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geomancy discussion regarding the mountain landscape figures was initiated, but was eventually concluded with the acknowledgement of the still-valid status of the previous Main mountain Baeg’ak(白岳). In the discussion, however, problems with the East side of the mountain were noticed, and the un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mountain was discussed. The reason the East side was lower was because the capital was constructed in a smaller size compared to the original design. The themes of Geomantic tales regarding Han’yang were decisively changed with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1590s. Tales before the invasion showed themes about the Nam’gyeong(南京) capital of Goryeo, the former title of Joseon’s Han’yang, with nuances of legitimizing the foundation of the new dynasty Joseon. Also, there is no reference to the Buddhist priest Muhak(無學) in them. But in tales and folklore stories which were conceived after the war, we can see sections foreseeing the ‘upcoming war,’ and insinuating the reasons behind the painful invasion. In the early half period of Joseon, Doseon was the primary figure who was cited all the time as the Geomancy master, but around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Muhak began to be described as the legendary master (of geomancy). The image of Muhak to which we are accustomed are actually from the tales that circulated through the Joseon society in its latter half period, from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And the people came to forget the fact that Han’yang was formerly the Nam’gyeong capital city of a long lost dynasty(Goryeo). The Post-war tales also featured the issue of mountain landscape figures prominently. This would have been because the deficiency in the mountain landscape would directly lead to the ineffectiveness of the mountain fortresses built on such landscape, which was also considered as the reason of the Joseon army’s swift defeat to the Japanese invasion force. The debates of King Sejong’s era also led to a new theory of a new Main mountain, In ’wang-san. As we can see, the perception or views upon the nature of the landscape features of the Han ’yang Capital city (as well as the geomancy discussions and tales) changed with the passage of time.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various tales were spawned.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periods, both tales of pointing out the geomantic weaknesses of the area, as well as tales of mythical nature arguing the ‘wonderful’ nature of its geomantic figures, circulated throughout the society at the very same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한양의 지세와 풍수적 해석
Ⅲ. 한양의 풍수 논란 및 설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연(Jang, Ji-yeon). (2013).조선 전기 漢陽의 지세 인식과 風水 논란 및 설화. 역사문화연구, 46 , 3-34

MLA

장지연(Jang, Ji-yeon). "조선 전기 漢陽의 지세 인식과 風水 논란 및 설화." 역사문화연구, 46.(2013): 3-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