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적응 과정 사례 연구

이용수 478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adjustment of a newly appointed associate principal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최승천(Choi Shung-Chun) 김병찬(Kim Byeong-Chan)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46輯, 149~17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적응이 학교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초임교감의 적응 경험은 물론 해당 학교의 교사들은 어떠한 대응경험을 거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파악해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현재 초임교감이 부임해 있는 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수집 방법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임교감의 적응경험으로는 크게 ‘눈치 보기’, ‘적응의 벽 경험하기’, ‘따라하며 닮아가기’, ‘내것 만들어가기’, ‘행정가로 역할 시작하기’ 등이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은 ‘비교하고 경계하기’, ‘변화에 저항하기’, ‘소극적 수용하기’, ‘따라 나서보기’ 등으로 특징 지어졌다. 이 연구는 행정가로서 첫발을 내딛는 초임교감들의 경험 특징을 이해함과 아울러 향후 학교행정가로서의 역할수행을 미리 예견해 볼 수 있으며, 학교행정가양성 및 초기적응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derstanding adjustment of newly appointed associate principal in school and teachers. For that purpose, newly appointed associate principal in urban elementary school was interviewed deeply. And I observed the school settings related to newly appointed associate principal job and I collected documents about newly appointed associate principals and teachers. I found some characteristics of newly appointed associate principal adapting process. 1) They experienced few shocks or difficulties. 2) Their adaptings are depended on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s. 3) They adapted in school individu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ings. In the period of early adapting stage, 1) newly appointed associate principals widened their eyes which wait to see his seniors and juniors attitude on school, 2) He began copying his predecessor and his principal. 3) He asks over and over again to improve his ability 4) He experienced his administrative jobs and individually adapted himself to the new position, 5) They became administrator. Also teachers of newly appointed associate principal experienced four adapting stage 1) ‘comparison and warning’, 2) ‘resistance about change’, 3) ‘passive reception’, 4) following' In conclusion, this study foresee educational administrators in korean school system, and at first time he hardly take charge of roles in schools. So, their tr ainning system should be modified. Basically, we need to change the preparing system of educational administrator in schools for developing the quality of schooling.

목차

요 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및 과정
Ⅳ. 초임교감의 적응 과정
Ⅴ. 논의: 초임교감의 적응 경험의 특징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승천(Choi Shung-Chun),김병찬(Kim Byeong-Chan). (2013).초등학교 초임교감의 적응 과정 사례 연구. 교육문제연구, 46 , 149-179

MLA

최승천(Choi Shung-Chun),김병찬(Kim Byeong-Chan).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적응 과정 사례 연구." 교육문제연구, 46.(2013): 149-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