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교가 가사의 교육적 가치 탐구

이용수 255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al Value of Lyrics of Middle School Song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권혜인(Kwon Hae-In) 한용진(Hahn Yong-Jin)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46輯, 129~14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서울시 중학교 교가 가사에 나타난 교육적 가치 지향성을 탐구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269개 중학교 교가 가사를 기초주의 교육학의 6가지 가치영역인 ①정신적ㆍ종교적 가치, ②사회적ㆍ건강적 가치, ③진리 가치, ④도덕 가치, ⑤물질 가치, ⑥심미 가치에 의거하여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연구대상 학교의 교가에는 도덕 가치와 정신적ㆍ종교적 가치가 98% 이상 반영되어 있으며, 그 다음으로 진리 가치(92%), 사회적ㆍ건강적 가치(89%), 물질 가치(84%) 등이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심미 가치가 교가에 반영된 학교는 67%에 불과하다. 둘째, 사용된 어휘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정신적ㆍ종교적 가치(88종)가 가장 다양하고, 그 다음으로 도덕 가치(69종)이다. 사회적ㆍ건강적 가치(34종), 물질 가치(31종), 진리 가치(26종), 심미 가치(25종) 등은 어휘수도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가 가사에 도덕 가치와 정신적ㆍ종교적 가치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교가를 작사할 때에 일상생활과 관련된 사회적ㆍ건강적 가치나 물질 가치 등보다 여전히 전통적 사회 규범을 중시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봉사의 개념과 관련된 심미 가치가 교가가사에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 것은 경제발전을 우선시 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이 실제로는 교가 작사과정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value orientation of lyrics of middle school song in Seoul, Korea. We have analyzed the 269 lyrics of middle school songs by the 6 value categories of Foundationism such as ① spiritualㆍreligious value, ② socialㆍhealthy value, ③ true value, ④ moral value, ⑤ material value, ⑥ esthetic val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98% of the lyrics shows moral value and spiritualㆍreligious value. And the 92% of the lyrics reflects the true value, while 89% and 84% of the lyrics has furnished the health value and material value, respectively. The lyrics of school songs which has the esthetic value is only 67% of all the subject. Second, analyzing the lyrics of school songs by vocabulary has revealed that spiritualㆍreligious value is most abundant (88 kinds), followed by moral value (69 kinds), socialㆍhealthy value (34 kinds), material value (31 kinds), true value (26 kinds), and esthetic value (25 kinds) are relatively low appearance in the lyrics. Third, the reason why the moral value and spiritualㆍreligious value are more abundant than that of socialㆍhealthy and material which are related to the everyday life suggests that lyric writers think much of the traditional social norm. Especially, esthetic value which is related to the service concept of Foundationism is the least appeared. It means the Hongik-Ingan, the idea of Korean education, have little effect on the writing school songs.

목차

요 약
Ⅰ. 머리말
Ⅱ. 교가의 교육적 이해와 분석틀
Ⅲ. 교가 가사의 교육적 가치 탐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혜인(Kwon Hae-In),한용진(Hahn Yong-Jin). (2013).중학교 교가 가사의 교육적 가치 탐구. 교육문제연구, 46 , 129-148

MLA

권혜인(Kwon Hae-In),한용진(Hahn Yong-Jin). "중학교 교가 가사의 교육적 가치 탐구." 교육문제연구, 46.(2013): 129-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