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원생의 학문적 글쓰기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96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Graduate Students’ Academic Writing Experience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혜나(Kim Hye-Na) 김대현(Kim Dae-Hyun) 이태영(Lee Tae-Young) 강이화(Kang E-Wha)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46輯, 35~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자 또는 연구자가 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대학원생들이 학문적 글쓰기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 그들이 학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그러한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4명의 석․박사과정 학생들의 학술지 논문 집필 및 게재 경험에 관한 현장텍스트를 저널 쓰기, 대화, 비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학문적 글쓰기에 관한 대학원생들의 이야기는 글쓰기 과정에서 부딪치는 난관과 그것에 대한 극복, 그리고 이를 통해 그들이 어떻게 학자로 성장해 가는지와 관련하여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글쓰기에 있어서 대학원생의 교육과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We tried to understand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on academic writing and their meaning in terms of students’ identity formation as academics. Toward this end, we based on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what experiences four graduate students went through in writing and publishing journal articles. Four stories were constructed by journal writing, conversation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e interpreted the stories regarding what difficulties the students experienced in academic writing, how they overcame the difficulties and formed their academic identity based on the experiences. From the results, we suggested implications on education for academic writing of graduate students.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네 대학원생의 이야기
Ⅳ. 나와 논문, 그리고 학문 사이에서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