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성적 도덕교육의 의미

이용수 572

영문명
The Meaning of Spiritual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고미숙(Ko, Mi-Suk)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46輯, 59~8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 영성의 필요성을 탐구하기 위해서, 영성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영성적 도덕교육의 방향을 탐구하였다. 도덕교육은 좀 더 내면적이고 근본적인 의미 및 존재의 문제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영성의 개념을 의미성, 본래성, 초월성, 관계성, 전체성의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탐구하였으며, 영성 개념의 5가지 요소는 서로 상호작용하기도 하고 중첩되기도 한다. 영성은 삶의 의미와 목적의 추구이고, 자신에게 진실하고 자신을 부단히 개선해가는 자기로의 회복이다. 또한 영성은 자기 내면의 탐구이고, 자기초월적이며, 자기, 타인, 자연, 세계, 우주, 보다 높은 힘이나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이고, 자신의 전체성만이 아니라 우주를 관통하는 전체성에 대한 자각이다. 이러한 영성의 특징은 도덕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영성과 도덕성은 모두 좋은 삶을 사는 문제, 인간의 실존문제를 다룬다. 영성적 도덕교육은 인간을 영성적 존재로 보고, 영성이 살아있도록 도덕교육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영성적 도덕교육은 영성적 자각, 감정, 실천이 함께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영성적 도덕교육을 위해서 영성적 지식의 중요성과 명상, 도덕적 영성 체험, 내러티브 접근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 studi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spirituality and the direction of spiritual moral education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pirituality in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should recover an inner, essential meaning and the matter of being. I understood the conception of spirituality in aspects of meaning, authenticity, transcendence, relationship and wholeness comprehensively. The 5 factors of conception of spirituality interact with each other. Spirituality is to seek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the connection with something beyond, self-recovery, the connection with self, other, nature, world, cosmos, and higher power, a living awareness of the wholeness that pervades the universe.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morality. They deal with the good life, existence of human being. The spiritual moral education understands human person as spiritual being and it is to keep spirituality alive. It is a moral education to consider spiritual awareness, emotion, and practice. I also suggested the importance of spiritual knowledge, a meditation, the lived experience of moral spirituality and narrative perspective as ways of spiritual moral education.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영성의 의미에 대한 종합적 이해
Ⅲ. 영성과 도덕성 사이의 관계
Ⅳ. 영성적 도덕교육을 위한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미숙(Ko, Mi-Suk). (2013).영성적 도덕교육의 의미. 교육문제연구, 46 , 59-85

MLA

고미숙(Ko, Mi-Suk). "영성적 도덕교육의 의미." 교육문제연구, 46.(2013): 59-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