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택영의 안중근 형상화 검토

이용수 281

영문명
A Study on Embodiment of An Jung-geun by Kim Taek-young - Focus on study of An Jung-geun jeon’s different editions -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최영옥(Choi, Young-ok)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5輯, 363~39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택영은 안중근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 이는 「안중근전」을 비롯한 여러 작품으로 나타난다. 그의 「안중근전」은 1910년 중국 신문의 보도를 근거로 처음 저술되었고, 이후 1916년 박은식의 저술을 보고 대대적인 개작이 가해졌다. 이 글은 김택영 문집에 수록된 「안중근전」의 개작양상을 통해 ‘안중근’ 형상화에 나타난 김택영 인식의 변화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술년(1910)작과 병진년(1916)작은 ‘인물소개-활동-재판과정-논찬’이라는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지만, 각 단락의 세부적인 화소의 취사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가장 특징적인 면모는 병진년작에서 안중근의 ‘천주교’관련 화소가 산삭되었다는 점이다. 기초자료로 삼은 박은식의 저술과 이후 이건승의 저술에도 나타난 천주교 관련 부분이 산삭된 것은 김택영 작만의 특징으로, 이는 유교질서의 회복을 현실문제의 타결책으로 여겼던 유교지식인 김택영의 의식이 반영된 부분이라 하겠다. 그리고 경술년작에서 비중 있게 다룬 ‘간도’지역에 대한 화소가 생략되고 병진년작에서는 ‘안중근’ 한 개인에 집중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이는 기초자료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써, 경술년작이 만주를 중국진출을 위한 기지로 삼으려는 일본의 야욕을 폭로하고 중국인들을 각성시키려는 중국언론의 논조가 반영된 것이라면, 병진년작은 박은식의 『안중근』에 기대어 있다. 안중근의 비범함과 영웅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주변인들에 대한 모습은 산삭되는 한편 경술년작에서는 없던 화소들이 추가된다. 특히 일제의 회유와 설득에 대한 화소를 반복적으로 제시함으로써 志士ㆍ烈士, 대한의 의병장으로 안중근을 형상화하고, 아울러 해외 한인들의 지지를 보여주는 화소를 통해 한 개인이 아니라 민족을 대표하는 인물로 부각시켰다. 김택영의 「안중근전」 개작은 박은식의 저술을 기초로 하였고, 이는 다시 이건승의 「안중근전」과도 연계성을 보인다. 즉 김택영의 「안중근전」 개작과정은 단지 김택영의 인식변화뿐만 아니라 당시 중국으로 망명한 재중 유교지식인이 안중근을 어떻게 민족의 영웅으로 형상화했는지를 보여주는 단초 역할을 하고 있다.

영문 초록

Kim Taek-young showed a deep concern for An Jung-geun, which is appeared in An Jung-geun jeon and other works. His An Jung-geun jeon was written in 1910 based on the report of Chinese newspaper at first, and extensively adapted after the report of Park Eun-sik in 1916. I aim to research the change of Kim Taek-young’s recognition appeared by the figuration of An Jung-geun through the aspect of adapting An Jung-geun jeon included in his anthology in this article. The works in Gyeongsulnyeon(1910) and Byeongjinnyeon(1916) are composed by same structure as “About Person-Activity-Trial Process-editor's judgement” but show some differences on selecting detailed motifs of each paragraph.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s is that the motif related to ‘Catholic’ was unselected in Byeongjinnyeon work. This is the special character of Kim Taek-young’s work compare to the works of Park Eun-sik and Lee Kun-seung. It is a reflection of Kim Taek-young’s recognition as a Confucian intellectuals who regarded the recovery of the Confucian order as a solution for a actual problem. In the works in Byeongjinnyeon, ‘An Jung-geun’ the way an individual chooses to focus on and omitted a motif about ‘Kando’ region in the works in Gyeongsulnyeon( 1910). This is attributed to differences of the basic materials. The works in Gyeongsulnyeon is reflect the tone of Chinese newspapers that exposed Japanese ambition to make Manchuria for the base of aggressing China so waking up Chinese. In the other side, the works in Byeongjinnyeon was relied on Park Eun-sik’s An Jung-geun. The people around An Jung-geun was deleted and some motives are added in order to highlight An Jung-geun’s extraordinary heroism. In particular, motives about the conciliatory and persuasive of Japan repeatedly presented. So An Jung-geun was figured as a a patriot, patriotic martyr, and leader of the righteous armies of Chosun and stand out as representative of nation through the motif of overseas Korean’s support in addition. Kim Taek-young’s adaption of An Jung-geun jeon was based on the work of Park Eun-sik and shows connectivities to Lee Kun-seung’s An Jung-geun jeon. The process of Kim Taek-young’s adaption of An Jung-geun jeon shows the change of his recognition. Furthermore, it gives us a clue how Confucian intellectual in China make An Jung-geun embodied by the hero of the nation in addition.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Ⅱ. 김택영의 「안중근전」 개작양상
Ⅲ. ‘안중근’에 대한 형상 변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옥(Choi, Young-ok). (2012).김택영의 안중근 형상화 검토. 동양한문학연구, 35 , 363-392

MLA

최영옥(Choi, Young-ok). "김택영의 안중근 형상화 검토." 동양한문학연구, 35.(2012): 363-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