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

이용수 186

영문명
The Vision of the Confucianism Country and Struggle for Social Actualization of Morality - Focusing on Early Sarim Clique Ojoljae Hanju Park -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김보경(Kim Bo Kyeon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5輯, 5~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迂拙齋 朴漢柱(1459~1504)는 佔畢齋 金宗直의 문인이다. 그가 남긴 작품은 賦 3편, 記 2편이다. 본고는 박한주에 대한 첫 연구로서, 그의 작품을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피고 그 문학적 성취와 의의를 규명하였다. 첫째는 왕업의 송찬과 유교국가의 비전이다. <三都賦>ㆍ<慶會樓賦>는 조선 찬양 문학으로 阿諛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그 내면에는 ‘사람다움—仁’이 유교국가의 존립 근거이며 역사의 성패 요인이라는 생각, 그리고 군신의 화합, 인간과 자연의 어울림, 모든 관계들의 우주적 조화가 이루어지는 경지 즉 ‘中和位育’의 비전이 떠받치고 있다. 요컨대 이 둘은 송찬의 형식을 빌려서 유교국가의 비전과 사회적 차원에서 조선을 이상적 유교국가로 만들고자 하는 희망의 노래이다. 두 번째는 道統 의식과 仁에 근거한 덕치주의이다. <安宅記>는 안택에 성현들이 거주한 내력을 밝힌 작품이다. 안택은 곧 ‘인’이니, 그는 인을 유교의 근본으로 보고, 복희~공자ㆍ맹자에 이르는 이른바 道統을 제시한 것이다. 그에게 인은 사람다움의 보편적 근거이며 모든 인간 행위의 준거로서 간주된다. 나아가 그는 인을 ‘公共之器’로 천명함으로써, 인을 토대로 한 덕치주의, 道德的 公共社會의 실현을 희구하였다. 우언적 글쓰기를 활용해 성리학 문제를 흥미롭게 풀어낸 것은 이 작품의 돋보이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고립의 토포스와 도덕적 승리이다. <居東賦>ㆍ<廢絃瑟記>는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과정에서 겪게 되는 고난과 극복을 아우른 작품이다. 작품의 주인공인 周公과 비파 주인은 도덕적 고결함을 간직한 자로, 세상의 비도덕적 세력들과 대결한다. 이 대결에서 주인공은 부득이하게 밀려나거나 스스로 단절하여 고립의 상황에 처한다. 그러나 이들은 끝내 하늘ㆍ진실을 회의하지 않고 도덕적 승리에 대한 확신을 견지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부의 경우 의례적 성격이 강하나, 전체적으로 볼 때 그의 작품에는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라는 대주제가 관류하고 있다. 그것은 새 국가, 새 시대를 건설하려는 점필재와 그 문인들의 공통된 테제이기도 하다. 박한주가 두드러지는 점은, 일관되고 집중적인 주제 의식, 그것을 가탁ㆍ우의, 이야기로 엮기 등 효율적인 말하기 방식을 활용하고 문학적 역량을 다해 형상화한 것이다. 적은 수이지만 남은 작품들이 보여주는 주제의 무게감, 문학적 완성도는 충분히 평가 받을 수준이다. 그러나 도덕적 고결주의, 도덕적 승리에 관해서는 다른 생각이 걸려든다. 도덕적 자부와 확신은 강점이면서 동시에 한계가 아닐까? 박한주 또 많은 初期士林派 인물들이 겪었던 참화가 결과적으로는, 믿는 세계 또는 만들고 싶은 세계에 대한 열망이 너무 컸던 까닭에, 정치적 권위(王)보다 도덕적 권위를 더 우위에 두었던 데서 초래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영문 초록

Ojoljae Hanju Park(1459~1504) is a pupil of Jeompiljae Jongjik Kim. He has left 3 pieces of bu and 2 pieces of gi. This paper examines these works in three themes. First, it is praising the royal cause and the vision of the Confucianism Country. and are literature that highly praise Choseon, equipped with flattery. But inside, there is a thought that benevolence is the foundation of a Confucianism country and factor of success or failure of history, and the vision of neutraliz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world in which there is natural and cosmical harmony between the king and his liege. In short, these two works are in the form of praise to express the vision of the Confucianism Country and hope to make Choseon an ideal one in social terms. Second, it is benign administration based on ethics and benevolence. He saw benevolence as the foundation of Confucianism in , and traced the pedigree of ethics from Fu-hsi to Confucius and Mencius. Benevolence to him was the universal foundation of being humane as well as the standard for human behavior. Moreover, he clarified benevolence as ‘public spirit’, and aspired after the actualization of moral community and benign administration based on benevolence. He used periphrastic writing to deal with Neo-Confucianism issue attractively, which is an outstanding point of this work. Finally, it is the topos of isolation and moral victory. and are works that deal with hardships and subjugation in the process of actualizing ideals. The main characters of the two works have moral noblemindedness, fighting against the immoral powers of the world. In these fights, they are unavoidably ousted or they cut themselves off from the world to be in isolation. But they do not doubt the heavens or the truth until the end, and stick to the conviction of moral victory. These works have the big theme of ‘the vision of the Confucianism Country and Struggle for Social Actualization of Morality’. This is the common wish among Jeompiljae and his pupils who want to build a new country and era. Hanju Park among them stands out with his consistent and focused sense of subject, and how it is shaped with all his potential by using various efficient methods such as praise, pretense, and fellowship. Though there are not many, the remaining works have heaviness in subjects and completion of literature that are to be highly evaluated. However, moral nobility and moral victory are somewhat skeptical. Can it be said that moral confidence and assurance is a strength as well as a limit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alamities that Hanju Park and many other members of the early Sarim clique experienced might have come from giving moral authority superiority over political authority(the king), because they had such a huge desire for the world they believed in and wanted to build.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박한주의 생애와 사우 관계
Ⅲ.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경(Kim Bo Kyeong). (2012).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 동양한문학연구, 35 , 5-35

MLA

김보경(Kim Bo Kyeong).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 동양한문학연구, 35.(2012):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