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李海朝의 「峴山三十詠」에 나타난 지리인식과 襄陽地域의 사회적 상징성

이용수 103

영문명
Lee Haejo's geographic awareness and the social symbolism of the‘Yangyang Area’as viewed through“The Thirty Poems of Hyeonsa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권경록(Kwon kyong-rok)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4輯, 5~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7세기 襄陽地域에서 창작된 李海朝의 「峴山三十詠」을 예로 하여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을 모색해본 것이다. 여기서 특히 주목한 것은 李海朝의 지리인식과 양양지역의 사회적 상징성이다. 사회적 공간의 생성과 변화는 지리적 공간 위에서 이루지기 때문에 문학작품 속에 재현되는 공간표상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는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표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襄陽’ ‘峴山’과 관련된 문학적 공간표상이 사회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전제 위에서 문학지리학의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李海朝는 1709년 50세에 襄陽府使가 되어 설악산과 금강산을 유람 했는데, 「峴山三十詠」은 이때 지은 시이다. 이 시는 세속에 따르지 않고 스스로 풍격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李海朝는 『輿地勝覽』을 참조하고 양양지역 노인들을 탐문하여 서른 곳의 승경을 선정하고, 풍부한 典故와 양양지역 민간설화를 활용하여 聯想을 통한 시․공간 범위를 확대해가는 방식으로 ‘양양’ ‘현산’을 하나의 의미망으로 연결하여 사회적 상징성을 지닌 새로운 공간으로 재발견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find out methods of researching local literature through “The Thirty Poems of Hyeonsan” by Lee Haejo from ‘Yangyang Area’ in the 17th century. I especially paid attention on the fact that Lee Haejo's geographic awareness and the social symbolism of the ‘Yangyang Area’. Since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 social space is achieved on a geographic space, a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graphic space and the literary space symbol is required in order to define the meaning that the space symbol as reproduced in literary works bears as a social space. Therefore, in this writing, discussions have been made in a literary geographic method on the premise that the literary space symbol as related to ‘Yangyang Hyeonsan' is one of the socially produced spaces. At the time when Lee Haejo became the governor of Yangyang in 1709 at the age of 50, he made sightseeing trips to Mt. Sorak and Mt. Geumgang, and ‘the Thirty Poems of Hyeonsan' is a series of poems that he composed during his trip period. These poems were appraised to have created the character of their own without being swayed by the mundane world. Lee Haejo selected 30 places of beautiful scenery by referring to “Yeojiseungnam(The Geography Book)" as well as by interviewing a number of the elderly in the Yangyang area. Also, he rediscovered them as the new space with social symbolism by interconnecting ‘Yangyang Hyeonsan' as a semantic network in such a way that leads to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time and space through association, which was done by utilizing abundant past works and folktales that were made available in the ‘Yangyang area’.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李海朝의 지리인식과 공간구성
Ⅲ. 이야기ㆍ문화공간으로서의 ‘峴山’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경록(Kwon kyong-rok). (2012).李海朝의 「峴山三十詠」에 나타난 지리인식과 襄陽地域의 사회적 상징성. 동양한문학연구, 34 , 5-42

MLA

권경록(Kwon kyong-rok). "李海朝의 「峴山三十詠」에 나타난 지리인식과 襄陽地域의 사회적 상징성." 동양한문학연구, 34.(2012): 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