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정체(正體)와 혼돈(混沌)

이용수 216

영문명
The Identity and Confusion of Modern Ukrainia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최승진(Choi, Seung-Ji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31권, 29~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7.2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우크라이나어는 14-15세기 폴란드 리투아니아공국의 지배를 받아 러시아어와는 다른 변형인자를 가지고 이질적으로 변모하였다. 이후 우크라이나어의 변화 양상은 민중이 겪었던 질곡의 역사와 긴밀히 연관되어있으며 다양한 발전 단계를 거듭하였다. 19세기 민족운동과 밀접한 관계에 있던 낭만주의가 유행하면서 작가들에 의해 교회어나 러시아어와 구별되는 고유 문자와 정서법이 개발되어 문학어로서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대표작가 이반 프랑코( І.Ф р а н к о, 1856-1916)는 다양한 쟝르의 창작 실험을 통하여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수준을 한층 끌어올렸다. 발류예프(Волуєьський циркуляр, 1863)와 엠스칙령(Ємський указ, 1876)에 따라 1905년 혁명이전까지 우크라이나어 문학 텍스트의 집필은 금지되었다. 1917년~1919년 우크라이나의 개혁은 곧 우크라이나화의 시작이었다. 교과서가 우크라이나어로 제작되었고 정부 및 행정기관 그리고 매스미디어에 등장했지만 이는 볼셰비키 정부의 잠정적 묘안이었으며 이전 언어정책으로 곧 회귀하였다. 이에 반발한 학자들은 1927년 하르키우에서 모여 우크라이나어에 대한 새로운 언어적 준거를 채택하게 되는데 러시아어와의 경계를 설정하고 이종적 특성을 한층 부각시켰다. 표준화 과정 ( П р а в оп и с)을 통하여 부자연스러운 외래적 요소들은 제한되었으며 전통 토착 우크라이나어법에 부합하는 신조어가 추가되었다. 조어법과 더불어 형태소, 구문 등에서도 재정립을 모색하였는데 이러한 주체적 사용은 부르주아적 민족주의로서 비판받고 대대적인 조처와 감시가 동반되었다. 소비에트 정부는 1960년대에 들어와 이전의 국제주의 노선으로부터 방향을 바꾸고 연방 다민족 국가들에게 언어적 단일화 작업을 추진하였다. 연방 내 모든 민족들의 상호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러시아어가 강요되었는데 이 정책으로 점차 현지어의 기반은 흔들렸으며 어휘의 차용은 물론 음운, 형태, 구문 등 광범위한 영향이 미치게 되었다. 우크라이나어 역시 독창성이 훼손되어 소위 ‘수르직 ’( С у р ж и к)이라고 하는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혼합적 형태가 등장했으며 언어 문화적 현상면에서 러시아어와의 동화를 가져왔다. 이는 근대기를 전후로 폴란드어의 직접적 영향을 받았던 우크라이나어가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또 다른 형태의 혼돈을 거듭, 표류하게 되는 새로운 국면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Ukrainian which belongs to eastern slavic linquistic family had been changed differently with Russian by heteromorphism since influence of Polish-Lithuanian Principality ruled Ukraine in the XVI-XV century. An alterative aspect of Ukrainian has closely related with racial history and have been developed through various phases. At the time of predominating of romanticism associated with a national movement in the XIX century, the peculiar letters and orthography was improved and the foundation discriminating from Church language or Russian as a literary language was set up. Also the prominent writer, Ivan Franko(1856-1916) raised the level of modern Ukrainian by the experiments of various genres. According to the Valuev Circular and the Ems Edict, writing Ukrainian literary text was prohibited until 1905 revolution. During 1917-1919, Ukrainian reformation was a beginning of Ukrainization. Although text books were written by mother tongue and used in governmental, administrative organs and mass media, it was not concrete and put an end to the provisional policy. The Bolsheviks returned to the previous status soon. Resisting an artifice, scholars adopted a new criteria about Ukrainian in the statement of Kharkiv in 1927. It was about setting boundary between Ukrainian and Russian and characterizing its distinguished looks. The linguistic elements like word formation, morpheme, phonology and others were set up through standardizing. A unnatural nonnative was excluded and neologism was added in accord with Ukrainian traditional phraseology. This subjecthood movement was criticized for 'bourgeois nationalism' that was under constant surveillance. In the 1960's, Soviet political measure changed its direction from Internationalism to unification of multinational republics within a union. The government were forced to use Russian as a mutual understanding. This policy led to an weakness of native languages and shook the base of characteristics. A form mixed with Russian, so called 'Surzhyk' appeared in Ukrainian and assimilated with it in side of a linguistic-cultural phenomenon. Ukrainian influenced directly by Polish in history has been gone through another confusion in Soviet Era again.

목차

<국문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우크라이나어의 형성
Ⅲ.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양상
Ⅳ.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승진(Choi, Seung-Jin). (2012).현대 우크라이나어의 정체(正體)와 혼돈(混沌). 동유럽발칸연구, 31 , 29-50

MLA

최승진(Choi, Seung-Jin). "현대 우크라이나어의 정체(正體)와 혼돈(混沌)." 동유럽발칸연구, 31.(2012): 29-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