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불교개혁운동의 관점에서 본 경허ㆍ만공의 행적

이용수 406

영문명
The Activities of Gyeong-heo and Man-gong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Buddhist Reform Movement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조을규(Joe, Eul-gyu)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0호, 455~498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개항 이후의 근대에 활약한 경허성우(1846-1912)와 그의 제자 만공월면(1871-1946) 두 선사의 행적에 대하여 근대불교개혁 운동의 관점에서 평가를 시도한 글이다. 한국불교사에서 근대는 국가·사회적 격변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불교에 큰 충격을 주었던 시기였다. 또한 조선 초 이후 장기간 지속된 숭유억불정책으로 불교 내부적으로는 활기를 잃어가고 있던 시기였으며, 특히 깨달음을 얻기 위한 불교의 수행전통은 매우 미약해진 상태에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허는 홀로 간화선 수행법을 통하여 깨달음을 이루었으며, 이후 자신의 체험을 기반으로 참선법을 확산시키고 정법을 유지하기 위하여 승속을 구분 없이 동참시킨 결사운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영향으로 영호남의 여러 사찰에서 참선을 위한 결사운동이 진행되었다. 경허의 법을 이은 만공은 제자들에 대한 참선지도 외에도 선학원운동 등을 통해 일제강점기에서도 한국불교의 전통적인 수행법을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경허와 만공은 참선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이루는 일만이 정법의 전통을 지키는 최우선의 과제라고 생각하였다. 이들을 통해서 힘을 잃었던 간화선 수행법이 다시 복구되고 널리 확산되었으며, 이후 한국불교에서는 이들의 제자들이 다수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참선수행 외의 다른 문제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었다. 경허는 무애행이라는 미명하에 비윤리적 일탈행을 자행하였으며, 만공 역시 승려들에 대한 불교 교육이나 계율 준수 등을 경시함으로써, 승단의 자질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경허는 당시 조선말의 국가적 위기상황에서도 극단적인 사회적 무관심으로 일관하였으며, 만공 역시 일제강점기 하에서 자주적인 불교종단의 설립이 매우 중대한 문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한 사회·정치적인 활동을 전개하지 못함으로써, 사회적 인식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경허와 만공의 행적을 근대불교개혁운동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들은 수행법의 정립문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대안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으나 교육이나 지계, 불교의 사회적 위상 제고, 불교 자주화 등 다른 주요 과제를 경시함으로써 여러 가지 부정적 측면이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contribution is an attempt to re-evaluate the activities of the two Seon masters Gyeong-heo Seong-u (1846-1912) and Man-gong Wol-myeon (1871-1946) in early modern Korea after the opening of the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reform mo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e modern era is a crucial period which caused a profound concussion in Buddhism because of the abrupt and sudden transformation of the state and society which itself confronted Buddhism from without. Also the early modern era is the era in which Buddhism had already suffered a loss of internal energy and livelihood because of the policy of Appraising Confucianism and Rejecting Buddhism, which had prevail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the traditional Buddhist practice which ought to have lead to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turning out to be in a state of obvious weakness. Under such conditions Gyeong-heo achieved enlightenment solely by the precepts of Ganhwa Seon practice. Thereafter Gyeong-heo made efforts to spread this kind of meditation rules for the benefit of maintaining the true dharma. Moreover he founded and developed an association movement in which monks and laymen stood united without discrimination. His influence caused and supported the initiation of such associations for the promotion of meditation in various temples in the Jeonra and Gyeongsang provinces. Gyeong-heos’ dharma successor Man-gong endeavored the protection of Korean Buddhism’s traditional practi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example by means of the Seon Hakwon(Academy) Movement and the Seon instruction he provided his students with. Gyeong-heo and Man-gong regarded the protection of the true dharma tradition, by whose means alone the meditation training could lead towards enlightenment, as their foremost duty. Their activities raised the strength of the weakened Ganhwa Seon tradition and furthered its distribution, furthermore their students later became the majority within Korean Buddhism. But still they can be held responsible for a number of various negative or problematic developments, because they considered issues other than those concerning the field of meditation practice unimportant. Gyeong-heo displayed an immoral and socially deviant demeanor by keeping up the attitude euphemistically called Muaehaeng, and Man-gong likewise showed little respect towards Buddhist education and the abidance by Buddhist monastic rules. Thus their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reasons for the problem of the successively low qualification of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Additionally, neither did Gyeong-heo show any serious social interest or engagement during the times of national crisi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nor was Man-gong able to act meaningfully in social or political matters, although the initiation of an independent Korean Buddhist community would have been an immensely important issue in those days. The narrowness of their social perception in these things becomes quite obvious. It seems jus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Buddhist reform movement to state that both Gyeong-heo’s and Man-gong’s activities offered a number of positive directions for development concerning the “right” Buddhist practice while at the same time they revealed serious shortcomings in view of other aspects such as the important challenges of education, the adherence to Buddhist rules, the social position of Buddhism and its independence in Korea, to name but a few examples which they treated with little esteem.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근대불교개혁운동의 배경
Ⅲ. 경허의 결사운동
Ⅳ. 만공의 선풍진작운동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을규(Joe, Eul-gyu). (2011).근대불교개혁운동의 관점에서 본 경허ㆍ만공의 행적. 불교학연구, (30), 455-498

MLA

조을규(Joe, Eul-gyu). "근대불교개혁운동의 관점에서 본 경허ㆍ만공의 행적." 불교학연구, .30(2011): 455-4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