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상의 『법계도』와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사고 유사성

이용수 234

영문명
The similarity of the way of thinking between Uisang’s 『the beopgye-do』 and Toegye’s 『the Seonghaksip-Do)』─Focusing on the explanatory diagram and the way of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ideologyUisang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효걸(Lee, Hyo-gul)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0호, 417~45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사상사의 중심축은 화엄사상과 성리학이라 할 수 있다. 한국 화엄사상은 의상의 『華嚴一乘法界圖』에 대한 연구사와 해석사라 할 수 있다. 한국 성리학은 퇴계의 『聖學十圖』에서 가장 잘 체계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저서는 한국불교와 한국유교를 대표하면서 동시에 한국사상사에 가장 큰 영향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불교와 유학의 대립적 구도에도 불구하고, 한국사상사의 연속성이 존재할 것이라는 전제에서 두 사상가의 대표적 저작물인 의상의 『법계도』와 퇴계의 『성학십도』를 비교해 보았다. 의상과 퇴계는 사상의 체계화에 圖說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에서 유사하다. 또한 바로 그러한 형식적 유사성 때문에 사상의 구성방식과 전개방식에서도 유사성이 있을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비교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두 사람이 도설형식으로 사상을 체계화 할 때, 사상의 평면적 전개와 입체적 층위화를 종횡으로 교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사람이 동일하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평면적 전개와 입체적 층위화 가운데 우선적 기준이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사상 구성방식과 전개방식에서도 유의미한 유사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상의 『법계도』는 證分→ 緣起分→ 수행으로 전개되고 있는데, 중심은 부처의 궁극적 깨달음, 즉 證分에 있다. 그러므로 『법계도』의 사상적 전개방향은 ‘果→因’이라 말할 수 있다. 반면 퇴계는 『성학십도』에서 크게 天道와 人道로 대별하고, 사상의 전개를 天道→人道로 진행한다. 또한 天道와 人道에 각각 존재론→수행론을 구성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果→因’으로 사상을 전개하는 의상의 사고와 ‘天→人’으로 사상을 전개하는 퇴계의 사고는 형식적으로만 유사한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에 대한 사상에서도 유사하다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퇴계는 『성학십도』의 전후반부를 막론하고 ‘天→人’의 중간에 인간의 ‘자각’을 개입시키고 그것을 무엇보다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은 天人關係에서 인간주도의 소통론을 주장하는 것이다. 자각을 중시하는 퇴계의 소통론은 결국 의상의 사상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Hwa-eom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are regarded as the main axis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Korean Hwa-eom Buddhism has been consistently advanced through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the Dharmadhatu Diagram of Hwa-eom Single Vehicle(華嚴一乘法界圖)(the beopgye-do; 法界圖)』 written by Uisang(義湘). Korean Neo-Confucianism is systematized properly in 『the Learning ten diagrams to become a saint(聖學十圖)(the Seonghaksip-Do)』written by Toegye. Each of the two works represents Korean Buddhism and Korean Neo-Confucianism, and has main effect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Given the continuity of Korean thoughts, this paper mainly aim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two works, beopgye-do and Seonghaksip-Do, and to alleviate the mutual antagonism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Uisang and Toegye have similarities in the way of an explanatory diagram to systematize their idea. From such formal similarity, they are supposed to deploy a similar way of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their idea. The summaries of compa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systematizing their idea within the way of explanatory diagram, they are identical in weaving flat structures and horizon differentiation lengthwise and breadthwise. The difference is merely what they choose as preferential criteria among flat structure and horizon differentiation. The way of the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their idea is the second significant similarity. Uisang emphasized Dharma-nature of Enlightened Reality(證分), the ultimate enlightenment of Buddha, because his beopgye-do is developed with the order of the Dharma-nature of Enlightened Reality(證分) → the True Nature of Dependent Co-arising(緣起分) → practice asceticism(修行). Thus the direction of Uisang’s idea through the beopgye-do is suggested as ‘the result(果) →the origin(因)’. On the other hand, Toegye divided his thoughts into two paths named Heaven(天道) and the way of Humanity(人道) in Seonghaksip-Do(聖學十圖), then organized his idea in the order of ‘Heaven(天) → Human(人)’. He also set up ‘Ontology(存在論) → practice asceticism(修行論)’ in each part of Seonghaksip-Do. Uisang’s thought which set the order as ‘the result(果) →the origin(因)’, and Toegye’s thought whichset the order as ‘Heaven(天) → Human(人)’,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not only in the way of diagramming, but also in their views of Nature and Human. Because Toegye inserted human enlightenment in the middle of the ‘Heaven(天) → Human(人)’ processes, regardles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parts of Seonghaksip-Do, he put the most emphasis on human enlightenment. This suggests that Toegye had a matter of great interest in human-base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In conclusion, Toegye’s human-based communication supporting self-enlightenment, is analogous to Uisang’s idea.

목차

요약문
Ⅰ. 의상과 퇴계의 사고 유사성에 대하여
Ⅱ. 圖說방식의 체계화에 나타난 유사성
Ⅲ. 사상전개방식의 유사성
Ⅳ.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효걸(Lee, Hyo-gul). (2011).의상의 『법계도』와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사고 유사성. 불교학연구, (30), 417-454

MLA

이효걸(Lee, Hyo-gul). "의상의 『법계도』와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사고 유사성." 불교학연구, .30(2011): 417-4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