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蒙山 看話의 비판적 연구

이용수 119

영문명
The Critical Research of Meng-shan(蒙山)’s Gwan-Hwa(看話)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정성욱(Jeong, Seong-woo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0호, 241~26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불교 간화선은 고려시대 이후로 몽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그러한 몽산의 간화는 대혜의 간화와 비교해 볼 때 많은 사상적 변화가 보인다. 그 이유로 인하여 오늘날 한국불교 간화선은 그 정신을 살리지 못하고 간화선 수행자는 방향을 잃고 있으며 오직 신비적 그늘 속에서 안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불교 간화선이 활발발함을 잃은 이유를 몽산의 간화에서 찾고 몽산의 일대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몽산의 간화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대혜의 간화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첫째, 대혜의 간화의 특징을 살펴보면 ‘발견하는 화두’라고 부를 수 있다. 이것은 우리 생활의 곳곳에서 누구나 찾을 수 있고 확인할 수 있는 마음의 존재적 형상을 묘사한 것으로 일체에 두루한 모습을 갖고 있다. 그래서 존재적 화두라고 명명하였다. 둘째, 몽산의 간화의 특징은 ‘만드는 화두’라고 칭하였다. 이것은 한 개인의 노력에 의하여 많은 번뇌망상을 극복하고 고행과 공력으로써 한 생각을 만들어 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수행적 화두’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행적 화두는 한 경계를 깨달을 때 까지 무한한 노력이 필요하여 성공할 확률이 거의 없으므로 오늘날 간화선이 수행자로부터 외면 받게 되었고 중생제도는 요원한 일이 되어버린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 한국불교 간화선 침체의 원인이 몽산의 간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몽산의 생애, 좌선과 화두에 대한 몽산의 개념, 몽산의 수행과정, 그리고 인가에서 그 예를 찾아서 분석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Gwan-Hwa-Seon(看話禪) of Korean Buddhism has been influenced directly by Meng-shan(蒙山). But Gwan-Hwa(看話) of Meng-shan(蒙山) can be seen as having many ideological changes compared to the Gwan-Hwa(看話) of Dae-hye(大慧). Due to this, the reality of Gwan-Hwa-Seon(看話禪) of modern Korean Buddhism cannot uphold its true spirit and practitioners of the Gwan-Hwa-Seon(看話禪) have lost direction and are content on being within the shade of mystery. Therefore this study will research the reasons that Gwan-Hwa-Seon(看話禪) of Korean Buddhism has lost its vigor in the Gwan-Hwa(看話) of Meng-shan(蒙山) and through an analysis of Meng-shan’s(蒙山) biography analyze the problem. By the method of comparison with Gwan-Hwa(看話) of Dae-hye(大慧), I will t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eng-shan(蒙山)’s Gwan-Hwa(看話). First,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Dae-hye’s Gwan-Hwa, it can be called ‘Discovering Hwa-Du(話頭)’. This is the description of the existential appearances of the mind that can be found and confirmed in various aspects of our lives, which has the appearance of all things. That is why it is called ‘Existential Hwa-Du(存在的 話頭)’. Second, another characteristic of Meng-shan’s Gwan-Hwa(看話) is ‘Creating Hwa-Du.’ This can be called ‘Disciplinal Hwa-Du’ whereby you overcome the many delusions of worldly desires through a personal effort and build a thought through self-mortification and labor. However, there is little chance in succeeding with ‘Disciplinal Hwa-Du’ because it requires infinite effort to achieve enlightenment. Thus, today the Gwan-Hwa-Seon(看話禪) is ignored by the practitioners of Korean Buddhism and has become a cause of indifference with regard to saving mankin. Therefore in this thesis, I think that the cause for stagnation in Gwan-Hwa-Seon(看話禪) Korean Buddhism today originated from Meng-shan’s Gwan-Hwa(看話), I will analyze examples to be found in Meng-shan’s(蒙山) biography, Meng-shan’s concept about Sitting in Seon Meditation(坐禪) and Hwa-Du, Meng-shan’s disciplinal course, and method of Permission(認可).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발견하는 화두’와 ‘만드는 화두’
Ⅲ. 몽산의 생애분석
Ⅳ. 몽산의 좌선과 화두개념
Ⅴ. 수행과정
Ⅵ. 三關語와 認可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욱(Jeong, Seong-wook). (2011).蒙山 看話의 비판적 연구. 불교학연구, (30), 241-269

MLA

정성욱(Jeong, Seong-wook). "蒙山 看話의 비판적 연구." 불교학연구, .30(2011): 241-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