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원사 중창 권선문』의 조성 경위에 대한 연구

이용수 511

영문명
A Study on the Process of How to Publish 『Sangwonsa Jungchang Kwonseonmun(上院寺重創勸善文)』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무봉(Kim, Mu-bo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0호, 369~416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오대산 상원사 중창 권선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편철(編綴)되어 있는 권선문(勸善文) 및 어첩(御牒)의 작성 연대, 한문본 및 언해본의 제작과 관련된 문제, 첩장(帖裝) 조성의 경위 등 아직까지 해명이 되지 않은 몇몇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판단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과제의 상당 부분을 풀었다. 첫째, 어첩을 쓴 시기 문제의 해결이다. 권선문과 어첩의 편철 순서, ‘조선왕조실록’, 김수온(金守溫)이 쓴 ‘상원사 중창 사적기(1475년)’, 권선문과 어첩의 내용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핀 결과 세조 11년[성화(成化) 1년, 1465 A.D.]인 을유년(乙酉年) 2월 20일 무렵에 작성한 글임을 밝혔다. 둘째, 언해본과 한문본을 별도로 조성한 이유에 대한 해명이다. 언해본의 뒤에는 공덕주로 많은 여인들이 등장한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언해본 조성이 왕실이나 내·외명부의 여인들은 물론, 주로 여성들을 위해서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권선문과 어첩을 언해한 시기 문제의 해결이다. 권선문과 어첩 모두 중창 불사에 필요한 재화(財貨)를 모으기 위해 쓴 글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한문본에 이어 바로 언해본이 만들어졌음을 밝혔다. 넷째, 언해를 행한 당사자가 누구인가를 밝혔다. 상원사 중창 불사와 관련된 승려 중 권선문 이후 진행된 언해사업을 고려하여 학조(學祖)로 보았다. 다섯째, 신미와 세조가 시차를 두고 쓴 두 건의 권선문이 같은 첩장에 묶인 이유이다. 보관하여 많은 이들에게 불은을 입게 하고, 길이 간직할 목적에서 행한 일이다. 중창 불사의 실질적인 책임자였던 학열(學悅)의 주재 하에 동참 승려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Odaesan Sangwonsa Jungchang Kwonseonmun(五臺山 上院寺 重創 勸善文)』which was written in 10th year of the age of Sejo(世祖)(1464 A.D.) who was a King of the Chosun(朝鮮) dynasty. This literature which forms the Cheopjang(帖裝) includes Kwonseonmun(勸善文) written by Sinmi(信眉) and Eocheop(御牒) written by Sejo(世祖). I discuss subjects related to this literature below.The first subject is that finding out the era during which the Eocheop was written. It is well-known when the Kwonseonmun was written(1464.12.18 A.D.), but the writing year of the Eocheop was unknown. As a result of this study, I discovered that the Eocheop was written in February 20th Eulyunyeon(乙酉年), 11th year of Sejo(1465 A.D.). The second subject is that of finding a reason why the Eonhaebon(諺解本) and Hanmunbon(漢文本) were written separately. I discovered the reason, which is that the Eonhaebon was mainly written for women including women of the royal family, such as Naemyeongbu(內命婦) and Oemyeongbu(外命婦). The third subject is determining the time at which the Kwonseonmun and Eocheop were translated into Hangeul. I focused on the purpose of the Kwonseonmun and Eocheop that of gathering wealth for Jungchangbulsa(重創佛事). By regarding various evidence, I conclude that Eonhaebon was written immediately after the writing of Hanmunbon. The fourth subject is determining the person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translation of Hangeul(Eonhae). By regarding various evidences that were related to Eonhae after writing Kwonseonmun, I conclude that Hakjo(學祖) translated the Kwonseonmun and Eocheop into Hangeul. The fifth subject is determining the reason why Sinmi’s Kwonseonmun and Sejo’s Kwonseonmun are compiled into one Cheopjang, although they were written in different years. Those two Kwonseonmuns have similar handwriting and are in a same Cheop(帖). This aims at showing those two Kwonseonmuns to people and to keep the Kwonseonmuns for a long time. It is highly possible that Buddhist monks compiled the Kwonseonmuns into one book under the supervision of Hakyeol(學悅) who was substantially responsible for Jungchangbulsa.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문제의 제기
Ⅲ. 형태서지적 특성
Ⅳ. 어첩 작성 연대
Ⅴ. 언해본과 한문본
Ⅵ. 언해 시기와 첩장 조성
Ⅶ.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무봉(Kim, Mu-bong). (2011).『상원사 중창 권선문』의 조성 경위에 대한 연구. 불교학연구, (30), 369-416

MLA

김무봉(Kim, Mu-bong). "『상원사 중창 권선문』의 조성 경위에 대한 연구." 불교학연구, .30(2011): 369-4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