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명상의 심리치료에의 응용에 대한 연구

이용수 3616

영문명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Buddhist Meditation in Psychotherapy - Focused on the Status of Mindfulness in Current Psychotherapy and Traditional Buddhist Meditation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김재성(Kim, Jae Sung)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37輯, 171~230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30여 년 전부터 서양의 행동의학과 심리학에서 불교의 mindfulness(pāli: sati, skt: smṛti)라는 개념이 새로운 심신치유와 심리치료의 모델로 급부상하고 있다. 최근의 미국 심리치료자 가운데 40% 이상이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치료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고 한다. mindfulness로 알려진 sati가 불교의 초기경전과 실제 수행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본고에서는 초기경전과 주석문헌에 나타난 sati의 용례와 의미 그리고 위빠사나 수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MBSR을 위시로 하여 심리학/심리치료에서 사용되는 mindfulness의 의미와 위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한 마음챙김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사띠의 의미, ‘마음챙김’이라는 용어에 대해 검토해 보았고, 다음은 초기경전에 사용된 사띠sati 대표적인 용례로 사띠 - 기억과 사념처, 사띠-삼빠잔나(正念-正知), 마음챙김의 확립, 몸에 대한 마음챙김과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 아누싸띠(隨念)를 들어 설명했다. 그리고 『청정도론』을 위시로 한 주석서에 보이는 사띠의 의미도 다시 정리해 보았다. 초기불교의 사띠는 기억과 분명 자각을 의미하며, 8정도나 5근, 7각지에서와 같이 다른 덕목들과 함께 작용하는 마음작용임을 알 수 있었다. 심리학/심리치료에서 마음챙김의 의미를 다루면서 마음챙김에 기반한 심리치료를 개관해보았다. 그리고 서양심리학에 마음챙김의 조작적 정의로 ‘특정한 방식으로 주의를 기울임에 의해 계발되는 순간순간의 비판단적 알아차림’을 제공한 MBSR에서 마음챙김이 보편적 다르마를 말하는 포괄적 용어로 쓰이고 있음을 보았다. 다양한 불교전통에 뿌리밖고 있지만 새롭게 현대의 맥락에 응용된 MBSR의 마음챙김의 7가지 특징을 보면, 단순한 명상의 기법이 아니라, 지혜롭게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MBSR 이후에 본격적으로 임상에 적용되기 시작한 마음챙김은 마음챙김 지향 심리치료로 불리면서 심리치료의 주류로 자리잡게 되었다. 마음챙김 지향 심리치료의 마음챙김에 대한 정의는 기본적으로 카밧진의 포괄적인 용어(umbrella term)로서의 조작적 정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카밧진의 포괄적 정의는 불교에 뿌리두고 있지만 현대의 맥락에서 재구성된 삶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긍정심리학에서 말하는 12가지의 마음챙김의 특성에는 MBSR의 마음챙김 태도에 5가지 자비의 실천이 추가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초기불교의 마음챙김이 다른 덕목을 지지하며, 언제나 유익하듯이, MBSR를 위시로 한 서양 심리학에 응용된 마음챙김에도 이러한 초기불교의 의미와 위상이 살아있으며, 단순한 명상 기법을 넘어서 포괄적이며 보편적 삶의 방식을 통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ver the last 30 years in the field of Western Behavior Medicine and psychology, the Buddhist concept of mindfulness (pāli: sati, skt: smṛti) has been emerging as a new model for psychotherapy and the healing of the body and mind. Recently, more than 40% of American psychotherapists have been applying mindfulness-based therapeutic approaches to their treatments. This paper reviews the usage and meaning of sati (translated as mindfulness) within Early Buddhism and actual Buddhist practice, especially in early Buddhist literature and commentaries. Furthermore, the meaning and status of mindfulness applied i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programs and psychology/ psychotherapy treatment is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mindfulness centered in Early Buddhism, I examined meaning of sati in the context of Buddhism and the term of mindfulness itself. The representative usages of sati consist of “memory“ and “the foundations of mindfulness (satipaṭṭthāna)“, ”mindfulness and clear comprehension (sati-sampajana)”, “mindfulness of the body (kāṭyagata-sati)”, “mindfulness of breathing (ānāpana-sati), and recollection(anussati). Furthermore, I reviewed the meaning of sati in the context of commentarial literature such as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Sati in Early Buddhism means memory and lucid awareness and it is also a mental concomitant used in the context of the Noble Eightfold Path, the Five mental faculties (indriya), and the Seven Factors of Enlightenment (bojjaṅga). While examining the meaning of sati in the context of wester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I reviewed the main stream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MBSR has developed various operational definitions of mindfulness, for example, moment-to-moment, non-judgmental awareness,cultivated by paying attention in a specific way, that is used as an umbrella term for entire process of Buddhist practice. Rooted in various Buddhist contexts, when the seven characteristics of mindfulness adapted to MBSR are reviewed, mindfulness is not merely a meditation technique, but it can be viewed as a way to live one’s life with wisdom. Following MBSR, mindfulness began to be applied clinically. The meaning of mindfulness employed in most mindfulness-oriented psychotherapies does not exceed the operational definitions provided by Jon Kabat-Zinn’s MBSR. The twelve characteristics of mindfulness in positive psychology can be seen to have simply added five practices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to the existing seven characteristics of mindfulness in MBSR. The concept in Early Buddhism that mindfulness supports other virtues has been carried over to the mindfulness applied in western psychology, starting with MBSR. Beyond being simply a meditation technique, mindfulness presents the universal way of life through an integrated perspective.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불교에서 마음챙김의 위상
III.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한 마음챙김에 대한 이해
Ⅳ. 심리학/심리치료에서 마음챙김의 의미
Ⅴ. 맺는 말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성(Kim, Jae Sung). (2012).불교명상의 심리치료에의 응용에 대한 연구. 불교연구, 37 , 171-230

MLA

김재성(Kim, Jae Sung). "불교명상의 심리치료에의 응용에 대한 연구." 불교연구, 37.(2012): 171-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