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華嚴宗성립에 있어서 三階敎의 문제
이용수 252
- 영문명
- The Sanjiejiao school(三階敎)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Huayan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저자명
- 석길암(Seok, Gil Am)
- 간행물 정보
- 『불교연구』佛敎硏究 第37輯, 147~169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화엄종 형성과정에서 보이는 화엄종과 삼계교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주로 종교적 실천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유사성에 관심을 두었으며, 사상적 측면의 문제는 종교적 실천의 측면에서의 관계를 보완해주는 부분을 한두 가지 검토하였다.
우선 華嚴宗形成의 前史에 관련되어 있는 至相寺의 지론종 남도파 人物들이 三階敎와 人的으로나 地理的으로나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三階敎의, 餘他의 宗派와는 다른,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대단히 강렬했던 종교적 실천의식이, 至相寺의 지론종 남도파 人物들을 매개로 形成期의 華嚴宗敎團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초기 화엄종의 사상형성의 문제를 해명함에 있어서도 삼계교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임을 의미한다.
삼계교와 지론종 남도의 지상사 일파는 靈裕(518-605)라고 하는 동일한 근원에서 출발하여, 비슷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실천적 성향에 있어서도 궤를 같이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양자는 삼계교에서 말하는 三階곧 時ㆍ處ㆍ人의 문제에 있어서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이 사상과 종교적 실천의 방향성에 있어서 다른 행로를 낳는 계기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Huayan school and the Sanjiejiao school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n of the Huayan school. The main interest is the similarities of the two schools regarding religious practice and, therefore, as for theoretical issues I researched only some complementary parts to religious practice.
Firstly, I found out that someone included in so-called Southern group(南道派) of the Dilun school(地論宗) at the Zhi-Xiang temple(至相寺) were very close personaly and geographically with the Sanjiejiao school. The religious practice, such as rituals of the Sanjiejiao school had great effects on the Huayan school during the formative period through the medium of the Southern group of the Dilun school. This means that when we try to figure out the formation of the early Huayan school the Sanjiejiao school must be examined with great importance.
The Sanjiejiao school and the Southeren group of the Dilun school have the same origin of Ling-yu(靈裕, 518-605) and are of similar social background and practical nature. These two, howev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hree stages(三階, Sanjiejiao), namely time(時)ㆍplace(處)ㆍpeople(人) and this difference seems to have triggered the split of the two schools in religious practice and doctrine.
목차
요약문
Ⅰ. 序論
Ⅱ. 杜順과 智儼, 그리고 至相寺
Ⅲ. 至相寺를 매개로 한 三階敎關聯者들
Ⅳ. 三階敎와 初期華嚴宗, 영향의 수용과 간극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불교학연구 제80호 목차
- ‘연화장세계’에 대한 화엄교학의 해석 - 법장(法藏)과 이통현(李通玄)의 주석을 중심으로
- 『법화현의』권1 「회이(會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유마경현소』 권1 「대사실단(對四悉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