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이용수 586

영문명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oryeo Daejanggyeong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정병삼(Jung, Byung-sam)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0호, 65~10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송의 開寶版 대장경이 『開元錄』을 바탕으로 983년에 간행된 이래 3차에 걸친 증보되었다. 개보판 대장경은 곧 고려에 전래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불교계의 의지는 마침 일어났던 외침을 계기로 1011년에 초조대장경 조판 사업을 시작하였다. 1029년에 1차 조판이 완성된 고려의 初雕本 개판은 처음에는 개보판을 그대로 새겨 간행하였으나, 2차, 3차에 걸친 보완을 거쳐 보다 정확한 契丹本을 적극 수용하고 고려 傳本들과 상호 校勘한 충실한 대장경을 1087년에 600여질로 완성하였다. 초조본은 『개원록』과 그 이후의 목록에 충실하게 간행하였다. 義天은 經論의 바른 뜻을 펴기 위해서는 章疏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20여 년간 국내외에 걸쳐 수집한 장소를 정리하여 1090년에 장소 목록인 『新編諸宗敎藏總錄』을 편찬하였다. 의천은 경ㆍ율ㆍ론으로 구성된 대장경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고자 그동안 대장경이 거의 외면하였던 고금의 章疏를 모아 一藏을 만들어 대장경의 이해를 보충하려는 뜻에서 수집한 장소를 교감하고 독자의 교학관에 따라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하였다. 독자적인 회통적 사상 체계에 따라 『화엄경』을 필두로 1,040종의 경ㆍ율ㆍ론 장소 목록을 제시하고 4,740권에 이르는 방대한 교장을 간행하였다. 신라와 고려 및 거란의 찬술이 대거 포함된 교장은 동아시아 불교학의 체계적인 정리로서, 송과 일본에도 전해져 교학 발전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하였다. 몽골의 침공으로 초조본이 불타자 大藏都監과 分司大藏都監을 설치하고 국가적 운영 체제 아래 체계적이고 방대한 재조대장경을 조판해냈다. 특히 재조대장경은 『校正別錄』에서 보여주는 정확한 교감 기준에 따라 고려본과 개보판·거란본을 활용하여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는 이들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을 正本으로 삼는 보편성을 지향한 정밀한 간행이었다. 재조본의 특징은 ‘外藏’에 있다. ‘정장’과 동일한 기관에서 동일한 시기에 개판된 20여 종의 전적은 화엄과 선적 및 천태 주석서들로서 고려 후기 화엄종의 사상적 의도와 수선사와 백련사 계통의 다양한 사상을 반영한다. 이들의 다양한 경판 판식은 국내 傳本을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서 고려 불교의 문화적 역량이 반영된 것이었다. ‘외장’은 고려의 문화적 전통에 바탕을 둔 출판인쇄술의 능력과 고려불교의 사상적 경향이 결합하여 이룬 고려불교의 역량 표현이었다.

영문 초록

Goryeo published two editions of Daejanggyeong and one Gyojang. The publishing of Daejanggyeong shows the trend of Buddhism and cultural ability of Goryeo. In Northern Sung, Chinese produced the first Tripitaka Kaibao Dazangjing in 983, afterwards enlarging it by three times. The Goryeo dynasty wanted to show cultural power and overcome the national crises caused by the invasion of the Khitan, so it started engraving Daejanggyeong in 1011. The First Daejanggyeong was finished in 1029, with national support. At first it was based on the Kaibao edition, but a second and third enlargement were corrected using the Kitan edition and Goryeo traditional copies. In 1087, over 600 boxes of the First Daejanggyeong were completed. The First Daejanggyeong was published by Chinese catalogs which made in succession. Euicheon, who entered the monkhood as a prince, thought that commentarie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ripitaka completely. In 1090, Euicheon edited the Sinpyeon Jejong Gyojangchongrok, the catalogue of commentaries on the tripitaka. He revised, edited, and published Gyojang which he collected from Goryeo, Sung, Kitan and Japan. In this catalogue, Euicheon showed the unique organization of the tripitaka. He listed Avatamsaka first, and listed 4740 rolls of 1010 books, and using this list he published commentaries. Many commentaries of Silla and Kitan were enlisted in that list. These publications brought to Sung and Japan and helped the progress of the study of Buddhism. The First Goryeo Daejanggyeong was destroyed by the Mongolian invasion, Goryeo established Daejangdogam to produce a new Daejanggyeong. The new Second Goryeo Daejanggyeong revised and edited the First Goryeo, Kaibao and Kitan editions. As a result the Second Goryeo Daejanggyeong guaranteed high accuracy. The standard edition was recorded in Sinjodaejang Gyojeongbyeollok. Moreover, the Second Goryeo Daejanggyeong subjoined more than twenty books. They include the commentaries of Hwaeom, Zen and Cheontae schools of China and Korea. this work shows the trend of late Goryeo Buddhist thought. These subjoinders succeeded Goryeo tradition, so the publishing form of the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ain Daejanggyeong. These subjoinders were joined by combining the Goryeo Buddhist thought and printing ability.

목차

요약문
서론
1. 宋 開寶版 대장경의 간행
2. 初雕大藏經 조판과 고려불교
3. 義天의 敎藏 간행
4. 再雕大藏經의 ‘正藏’과 ‘外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병삼(Jung, Byung-sam). (2011).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불교학연구, (30), 65-104

MLA

정병삼(Jung, Byung-sam).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불교학연구, .30(2011): 65-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