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현황과 발전 과제

이용수 1308

영문명
A Review and Analysis of Research on Job Stress : Current Challenges and New Directions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유명순(You, Myoungsoon) 조원섭(Cho, Wonsup)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521~55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직무 스트레스는 근로자와 조직, 나아가 한국 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해칠수 있는 중요한 위험 요인이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 학술지에 게재된 직무 스트레스 연구를 학문 분야별로 살펴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연구재단』이 제시한 연구 분야 대분류 기준에 따라 보건학 분야 학술지게재 논문 176 편과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 게재 논문 219 편, 총 395 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 분석을 위해 이경묵(2008)과 유명순(2010)이 제시한 논문 분류 틀을 참고•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내용은 크게 (1) 연구 구조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론의 세 가지 측면이다. (1)에서는 게재 시기, 저자 소속 분야, 발표 학술지, 연구 종류, 연구설계, (2)에서는 핵심어, 근거 이론, 주요 변수, 분석 수준, 연구 대상자, 연구 목적 및 시각, 연구 함의, (3)에서는 측정 도구, 자료 수집 방법 및 종류, 자료 수집 범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직무 스트레스 연구 논문은 1990대 이후 뚜렷한 양적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논문의 저자 소속 분야와 학문 분야를 비교한 결과 학제간 연구가 본격적이지 않은것을 알 수 있었다. 학문 분야를 막론하고 연구의 대부분이 현황 조사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구 분야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척도인 분석 수준의 경우에도 대상 논문의 82%가 ‘개인’을 분석 단위로 삼고 있어서 편중을 보였다. 직무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인과적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한 논문의 비중은 사회과학이 75.8% 보건학이 46%로 차이가 있었다. 사회과학 논문에 비해 보건학 분야 게재 논문에서 질환, 장애, 통증 등 신체적 건강 상태가 직무 스트레스의 중요 변수로 더 많이 확인된 것 역시 또 다른 차이점이었다. 그러나 두 분야 공히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이나 이직 의도 등 직무 태도의 주요 영향요인이라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끝으로, 연구 주제와 대상이 다양하지 못했고 연구 방법론 제고를 다룬 논문이 드물었으며 직무 스트레스 예방 관리 프로그램과 같은 실무 현안을 연구하려는 시도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첫째, 이론의 명료성, 검증 가능성, 포괄성 및 창의성을 고려한 직무 스트레스 이론 개선, 둘째, 이론과 자료의 수준을 보다 잘 합치시키려는 노력과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려는 시도, 셋째, 학문 분야별로 빈번히 적용되는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비교 평가, 넷째, 현행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질 평가 등을 향후 연구 과제로 제안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한 대안으로 학제간 공동 노력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roblems and prospects of research on job stress published in Korea. Methods: A total 395 articles(176 public health, 219 social science) selected from ‘Korean Research Foundation Registered Journals’ were reviewed. The papers were classified by criteria, focusing on research frameworks, topics and methodologies. Results: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amount of articles since the 1990s. However, the following issues were discovered: lack of theoretical frameworks about the factors relating to job stress, the paucity of attention to sophisticated methodologie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strong measurement tools, and incoherence among the level of theory, level of measurement, and/or level of statistical analysis. Conclusion: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efforts to (1) encourag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study on job stress, (2) to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empirical investigations (3) to initiate new approaches such as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ve research, and (4) to improve methodological rigor, were proposed.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명순(You, Myoungsoon),조원섭(Cho, Wonsup). (2011).우리나라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1 (2), 521-553

MLA

유명순(You, Myoungsoon),조원섭(Cho, Wonsup). "우리나라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1.2(2011): 521-5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