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제통상법에 있어 世界的 正義(Global Justice)의 개념에 관한 小考

이용수 130

영문명
The Global Justice and International Trade Law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김기영(Kim, Ki-Young)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18권 제2호, 527~55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통상법과 관련하여 세계적 정의가 점차로 우리 공통의 관심사가 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본고는 세계적 정의의 문제를 어떻게 관념할 것인가에 관한 몇가지 접근 모델을 탐색하려 한다. 본고는 Rawlsian 자유주의(Rawlsian Liberalism),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 및 동의이론(Consent Theory) 등 세 가지 기본모형을 중심으로 다기화된 법규범체계 하에서 세계적 정의가 어떠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가를 밝히려 한다. 이 중 두가지 접근방식은 정치 이론에 기반하고 있으며, 따라서 세계적 정의라는 문제와 일견 부합하지 않는 듯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Rawls의 자유주의 모형은 매우 저명한 이론 모형이지만, 그것은 국가내적인 것이고 국제적 차원의 것이 아니다. 두 번째 공동체주의 이론모형은 정의를 특정한 공동체내적인 것으로 한정하는 바, 이러한 특정 공동체는 민족국가들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이론모형은 세계적 정의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 기존 문제점의 일부를 해결하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 각 이론이 다루는 국가나 공동체의 정치적 상황이 다를 수 밖에 없다는 한계로 인하여 그 이론적 한계를 갖는다. 세 번째 이론모형은 전혀 다른 접근방식을 취하게 되는 바, 이 이론모형에서는 전통적인 정치 이론의 접근방식을 최소화하는 한편, 우리가 통상 및 상품교역을 통하여 경험하는 살아있는 현실에 보다 부합하게 될 것이다. 즉 이러한 현실에 기초하여 어떠한 모형체계(模型體系)를 구축할 수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이론모형에서 필자는 먼저 우리의 언어와 법이 인식하듯이 절도, 강박, 착취, 그리고 통상 등이 같은 의미의 것이 아니고, 가치라는 개념을 통하여 그것이 전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Simone Weil의 同意理論을 통하여 필자는 왜 그러한 결론이 도출될 수밖에 없는 가를 설명하고, 그러한 설명이 국제통상과 정의의 문제영역에 대하여 갖는 함의를 살펴볼 것이다. 필자는 세 번째 이론모형이 규범의 다양성하에서 세계적 규범정립을 위한 합의를 구하는 중요한 주제를 통하여 앞의 두가지 이론모형의 단점을 메우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Within the realm of international trade, the global justice increasingly raises more concerns we need to address commonly. The paper intends to explore some of foundational frameworks which provide a tool of how we connote the concept of global justice. The paper surveys three basic models that can be plausibly packed as Rawlsian liberalism, communitarianism, and consent theory. Around the discussion can we understand how the concept of global justice would be connoted. The first theory is grounded on the liberal ideas which connote the basics of society as an “original position” and “different principle.” The state is politically obliged to support the value of liberalism from the ground law of each nation. However, the distribution of natural goods inevitably bears out an inequality among individuals which is eventually attributed to an social inequality. The call for “justice as fairness” can play a role to address this anomaly. This theory has been developed from the domestic level of politics, and can be applied to an international plane in that global justice can be sustained only depending on the foreign policies of each liberal state. The second theory underlies the assumption that justice can only matter with some type of community sharing a common attitudes, social custom, common recognition, compassion, social practices and so forth. Therefore, this theory typically requires a nation-state to address the issue of justice while it is virtually similar to the first one. Yet, a difference can be noted that this theory dispenses with a liberal value critically upheld in the first one. The second theory is also limited of the actual fare present in the international plane. This means that no tight community as is envisaged can hardly be identified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community. Instead, we can only find a partial integration toward the communal creation through an international treaty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us, this theory may produce a similar consequence to the first one, but entails many aspects of “international justice” rather than a new conceptualization of “global justice.” While both can serve to resolve the definitional dilemma at some extent, they are inextricably of limited character as focusing the theme of justice on the national background. The third model, interestingly, took a quite different approach while minimizing the traditional political framework. The model emphasizes a more practical perspective to highlight the real interactions within the domain of international trade. In discussion of the third model, I would appeal to our epistemic sense and logic as combined with the real situation happening over the words; theft, oppression, exploitation and trade. Surrounding the concept of value, these words are more sharply departing among another to distinguish the global justice from other incidents of injustice. Invoking the consent theory from Simone Well, I would also vindicate the criteria which the trade in real sense should comply with. A focus of discussion will be given to the relational aspect between the theory and global justice in the international trade. It is hoped that the last model can cure the rigidities of first two theories. The paper will hopefully enlighten the critical need of consent element in shaping a global normative community, and also will enable for us to share the common concept of global justice.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Ⅱ. 世界化와 正義
Ⅲ. 제 1의 理論模型: 自由主義 國家의 외교정책과 正義 관념
Ⅳ. 제 2의 理論模型: 世界化와 世界的 正義의 가능성
Ⅴ. 제 3의 理論模型: 同意, 强壓, 通商의 본질
Ⅵ.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영(Kim, Ki-Young). (2011).국제통상법에 있어 世界的 正義(Global Justice)의 개념에 관한 小考. 법학논총, 18 (2), 527-557

MLA

김기영(Kim, Ki-Young). "국제통상법에 있어 世界的 正義(Global Justice)의 개념에 관한 小考." 법학논총, 18.2(2011): 527-5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