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시대 역사주의란 무엇인가

이용수 1601

영문명
What Is Historicism in Our Time?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김기봉(Kim, Gi-bong)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23권, 369~40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역사주의란 세계의 탈주술화가 일어난 근대에서 생겨난 세계관이자 역사인식 방법론이다. 역사주의가 근대에서 탄생하는 맥락은 “모든 것은 변화한다. 변화하는 것은 역사다. 고로 모든 것은 역사다.”의 삼단논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변화하는 것은 역사고, 역사란 변화한 것의 총체라는 생각이 모든 것을 역사성을 통해 해명될 수 있다고 믿는 역사주의가 성립하는 근대의 조건이다. 역사성을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 역사주의는 역사개성 주의와 역사법칙주의의 두 유형으로 나눠진다. 20세기를 ‘극단의 시대’로 만든 대표적인 두 이데올로기인 나치즘과 공산주의는 이 두 유형의 역사주의가 낳은 역사의 비극이다. 전자가 저지른 홀로코스트가 계몽주의 보편적 이성에서 벗어난 독일적 인종주의를 옹호하는 역사개성주의가 빚어낸 문명의 파국이라면, 후자의 소련 강제수용소와 중국의 문화혁명은 마르크스주의라는 역사법칙주의에 의거해서 기도한 유토피아 사회공학이 초래한 재난이다. 그렇다면 인류가 역사의 진보라는 명분을 갖고 자행한 문명의 파국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역사주의의 길을 모색해야 하는가? 이한구는 칼 포퍼의 포괄법칙모형에 입각해서 반역사주의 길을 제시했다. 반역사주의는 역사학의 해석학적 전통과의 단절을 통해 설명과학으로서 역사학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려는 시도다. 실제로 1970년대 독일 역사학계에서 일어난 역사주의에서 역사적 사회과학으로의 역사학 패러다임 전환은 이 같은 역사학의 정체성 변화를 추구한 사학사적 사례다. 역사적 사회과학은 이론, 모델, 또는 베버의 이상형과 같은 포괄법칙으로 역사학을 하나의 설명과학으로 만들고자 했다. 이에 대항해서 1980년 중반에 나타난 미시사나 신문화사는 “이야기체 역사의 부활”을 주창하여 역사학을 다시 해석과학으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고전적 역사주의를 탈근대적으로 변형시키는 신역사주의라는 새로운 사조가 등장했다.

영문 초록

Historicism is a world view and a methodology of history, which is borne with the modern demythologization. The whole context of the birth of historicism can be summarized with a syllogism, i.e. “everything changes. What changes is history, therefore everything is history.” The modern condition of historicism which believes that everything can be explicated by historicity lies in the idea that what changes is history and history is the totality of what changes. Depending on how to understand historicity, historicism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i.e. historical individualism and historical determinism. Nazism and communism, two representative ideologies which turned the 20th century into an age of extremes, are the historical tragedies produced by these two types of historicism. The Holocaust is a civilizational catastrophe, which was caused by the historical individualism advocating the German racism deviated from the universal reason of the Enlightenment. In contrast, the Soviet Gulag and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were catastrophes caused by a utopian social engineering which was based upon historical determinismof Marxism. Should we look for a way of anti-historicism in order to prevent further civilizational catastrophe humanity could inflict on himself in the name of historical progress? Based upon the covering law model of Karl Popper, Lee Hangu presented a way of anti-historicism. Anti-historicism is a trial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history as an explanatory science through breaking it off its hermeneutic tradition. In fact, the paradigm shift from historicism to historical social science by the German historians of the 1970s was a historiographical example which pursued to change the identity of history as science. Historical social science tried to turn history into an explanatory science using the covering laws like theory, model, ideal type of Max Weber. Against historical social science, micro-history or new cultural history in the mid of the 1980s tried to re-establish history as a hermeneutic science, advocating “the revival of the narrative.” This process gave birth to a new trend of New historicism which transformed the classic historicism in the postmodern sense.

목차

【국문초록】
1. 역사와 역사주의
2. 역사의 첫 번째 과학모델로서 독일 역사주의 : 역사개성주의
3. 근대의 세계관으로서 역사주의와 역사법칙주의
4. 역사주의 대 반역사주의
5. 탈근대 역사주의의 귀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봉(Kim, Gi-bong). (2011).우리시대 역사주의란 무엇인가. 한국사학사학보, 23 , 369-401

MLA

김기봉(Kim, Gi-bong). "우리시대 역사주의란 무엇인가." 한국사학사학보, 23.(2011): 369-4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