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보와 카메라 눈(kinoglaz), 다큐멘터리 형식의 문학적 실험

이용수 626

영문명
A Study on The Experiment of Documentary Film style by Application of ‘Kinoglaz’ on One Day of Gubo, the Novelist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전우형(chon woohyung)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6집, 101~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영화적 상상력의 특징이 카메라 눈(kinoglaz)과 다큐멘터리 형식의 모방이라는 점을 논증하기 위해 씌었다. 이 과정은 우선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창작방법에 대한 최근 논의에서 고현학과 산책자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해소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양자 사이에 영화의 매개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 작품에서 영화의 영향은 기존의 논의에서처럼 이중노출 등의 세부적인 흔적으로만 존재한다기보다 현대사회에 대한 작가의 세계인식과 창작방법의 본질적인 차원을 구성하는 것으로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논의가 추상적인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며, 이를 위해 현대적 세계인식과 창작방법의 근본적인 속성을 보여주는 명징한 영화 형식을 분석틀로 삼아야 한다. 공교롭게도 그 당시 영화계에서 다큐멘터리는 자기 성찰적이며 도시 관찰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표현 형식으로 선보였던 사실이 있다. 자신의 키노글라즈 이론을 토대로 러시아의 도시를 필름에 담아냈던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Chelovek s Kinoappartom, 1929)를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이 연구는 텍스트 사이에 존재하는 카메라와 소설가의 작품 내 존재 양상처럼 외적 형식의 유사성을 밝히는 데에서 시작하여 두 텍스트 바깥에 놓여있는 현대사회라는 또 다른 텍스트를 읽고 재현하는 ‘눈’의 본질적 혈연관계를 확인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영화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이 혈연관계, 즉 인간의 눈을 뛰어 넘는 카메라 눈이 결국 인간적인 내면을 획득하는 계기가 만들어지는 자기 반영적 서사라는 점에서 단순한 상호텍스트성을 넘어 현대사회의 새로운 서사양식으로서 의미화가 가능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cinematic imagination on One Day of Gubo, the Novelist is the emualtion of documentary film style by application of KInoglaz-camera eye. This argue, first, might be a clue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which the recent argumentations about Modenology can be inconsistent with Flâneur as Park Taewon’s method of writing novels. Because the documentary film style appear to have some possibilities to be connected to those two methods. Fortunately, there was a documentary film with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Soviet union, 1929. This is Chelovek s Kinoappartom, directed by Dziga Vertov. This film Closely parallels the one day of gubo, the Novelist. The existence of camera in the film is similar to the novelist into the novel. And two texts are made of self-reflective narrative. So far, there is no evidence that Park Taewon watched that film. However, Dziga Vertov devised the Kinoglaz and firstly experimented that in the film, Chelovek s Kinoappartom. This Kinoglaz means the theory of camera eye, which starting with Choi Jaeso, lots of other critics and scholars mentioned on Park Taewon’s way of wirting novels. The Kinoglaz which Vertov devised, was adapted for the way of object, neutral and dynamic observation to daily life in Seoul in Park Taewon’s novel. Futhermore in his novel, camera which are beyond human eye would gain the inner world of mankind. So this has meaning that novel reached to discover the way of recognizing and representing modern world by the interaction with camera eye and human inside.

목차

1. 고현학과 산책자, 영화의 상호관련성
2. 〈카메라를 든 사나이〉와 키노글라즈(kinoglaz)
3. 카메라 눈과 다큐멘터리 형식
4.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우형(chon woohyung). (2010).구보와 카메라 눈(kinoglaz), 다큐멘터리 형식의 문학적 실험. 구보학보, 6 , 101-123

MLA

전우형(chon woohyung). "구보와 카메라 눈(kinoglaz), 다큐멘터리 형식의 문학적 실험." 구보학보, 6.(2010): 101-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