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적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이용수 1720

영문명
Education on Poetry Writing through Poetic Imagination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김영관(Kim, Yeong-gwan)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5권 제1호, 209~2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학 교육에서 창작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지만, 교실 수업에서 창작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태를 지적하고, 그 이유로 감상 위주의 교수-학습 형태와 창작을 개인의 천부적인 소질로 취급하여 교육의 대상에서 빼 버려도 무방하다는 분위기를 지적하였다. 또한 그 동안의 연구 성과가 ‘시 교육론’이나 ‘시 창작론’에 치우쳐 있어 ‘시 창작 교육론’에 대한 연구 성과가 미비함을 지적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전문 시인의 입장이 아닌, 시 쓰기 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 즉 창작 주체의 입장에서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을 논의하였다. 관찰과 체험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세상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체험을 통해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남들이 들을 수 없는 것을 들을 수 있는 ‘개성적 안목’을 기를 것을 요구했다. 이것은 시적 상상력을 확장하기 위한 출발이며, 창작뿐만 아니라 다른 시를 감상할 때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명상과 체험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시 창작에 앞서 정제된 시상(詩想)을 이끌어 내는 데 있어 명상의 중요성을 말하고, 연상을 통해 상상력을 확장하고 극대화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교사는 창작 주체로 하여금 명상과 연상을 통하여 상상력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기록하게 한 후, 시가 될 수 있는 것과 시가 될 수 없을 것을 해석해 주어야 한다. 기억과 재생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과거의 경험을 어떻게 현재에 재생하는지,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상력의 확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과거와 현재의 시간적 간극은 상상력을 더욱 자극시킬 수 있으며, 그것은 현재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 되고 굴절될 수 있다. 기억이 갖고 있는 다양한 서사적인 요소를 창작 주체가 추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것에 상상력과 여러 가지 시적인 요소가 어떻게 가미되는지 도와줄 필요가 있다. 필자의 의도와 고민은 시를 잘 쓰는 창작 주체를 양성하는 데 있지는 않다. 교사는 큰 고민이나 어려움 없이 시 창작을 교수-학습할 수 있고, 학습자는 시 창작이 특별한 것이 아닌 장르를 달리하는 단순한 글쓰기로 생각하기를 바라는 데 있다. 그래서 감상 위주의 문학 수업이 창작과 감상이 적절하게 균형을 맞추는 역동적인 수업이 되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e introduction pointed out that writing education had not been provided properly in classroom lessons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had increased in literary education every day and that the situation was derived from the atmosphere that considered apprecia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writing as parts of individuals’ innate talents and assumed it would create no problem to leave those areas behind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also pointed out that there had been poor research findings on “theories of education on poetry writing” as research efforts had been inclined toward “theories of poetry education” and “theories of poetry writing.” Taking a start in those issues, the study discussed poetry writing through imagination in the shoes of a learner in a poetry writing process or a subject of creation rather than a professional poet. Poetic imagination through observation and experience asked the students to develop “distinctive eyes” to see what others cannot see and hear what others cannot hear through the detailed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of the world. It is a starting point in the expansion of poetic imagination and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in poetry appreciation as well as in poetry writing. Poetic imagination through meditation and association addressed the importance of meditation, which pulls purified poetical ideas out of an individual before poetry writing and discussed how to expand and maximize imagination through association. The teacher needs to let the subjects of creation write down the images of their imaginations freely through meditation and association and interpret them to tell which of them can be poetry and which of them cannot be poetry. Poetic imagination through memory and reproduction examined how past experiences could be reproduced in the present and what kind of role the expansion of imagination would play in the reproduction process. The time gap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may stimulate imagination further and be reinterpreted and refracted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The teacher needs to help the subjects of creation extract a variety of narrative elements contained in memory and add imagination and various poetic elements to them. The investigator did not intend to produce the subjects of creation that are good at poetry writing through those purports and contemplations and wanted to help the teachers teach poetry writing with no particular worries or difficulties and the students regard poetry writing as a different genre of writing rather than something special, hoping appreciation-based literary classes will be dynamic with proper balance between creation and appreciation.

목차

〈요약〉
1. 서론
2. 시적 상상력과 시 창작 원리와 의의
3. 시적 상상력과 시 창작 실제
4.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관(Kim, Yeong-gwan). (2011).시적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5 (1), 209-236

MLA

김영관(Kim, Yeong-gwan). "시적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5.1(2011): 209-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