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文殊寺〈熾盛光如來降臨圖〉考察

이용수 308

영문명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저자명
이동은(Dong-Eun Lee)
간행물 정보
『佛敎美術』第21號, 99~13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치성광여래도는 성수 신앙의 결정체로 고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치성광여래를 主尊으로 하고 있으며 여러 星宿들을 불격화 시켜 도해한 그림이다. 치성광여래도는 도교적 권속과 불교적 권속이 모두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도ㆍ불교 신앙의 양면을 모두 알 수 있다. 조선전기까지는 고려시대의 치성광여래강림도의 도상을 계승하고 있었으나 조선후기에는 이전 시기와는 다른 새로운 도상의 치성광여래강림도가 제작되어 도상이 매우 다양해진다. 그 한 예로 문수사 〈치성광여래강림도〉를 들 수 있는데 이 작품은 여러 星宿들이 雲尾가 말린 구름 위에 서서 마치 강림하는 듯 표현되어 있다. 문수사 〈치성광여래강림도〉는 1855년에 선화와 도성에 의해 제작된 작품으로 화면 내부에 방기가 있어 각 권속의 존명을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1749년에 전라도 지역에서 의겸에 의해 제작된 천은사 〈치성광여래강림도〉와 전체적인 화면구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두 작품은 시기ㆍ지역적으로도 차이가 날 뿐더러 화사간 화연관계도 드러나지 않는다. 아마도 문수사 작품을 그린 화사는 천은사 작품을 본 적이 있거나 그 도상에 대한 인식이 있어 천은사 을 모본으로 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문수사 작품은 천은사 작품을 모본으로 하여 제작되긴 하였으나 도교적인 권속을 새롭게 등장시키고 도교적 권속의 존명을 보다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문수사 작품이 제작된 1855년에는 도교가 사회적으로 상당히 흡수되어 있었고 이에 따라 선화와 도성은 그 사회상을 받아들여 문수사 작품을 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더불어 협시보살의 보관에 원상을 표현하고 있는데 이 또한 치성광여래의 협시보살이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라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다. 문수사 작품은 권속과 구름을 제외한 바탕 전체에 금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의습선과 대의의 문양은 백분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독특하며 각 안료의 색이 씌여 있어 초본에서만 볼 수 있었던 특징이 나타나고 있는점 또한 흥미롭다. 이와 같이 문수사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몇 안되는 강림도 형식의 작품으로 천은사 〈치성광여래강림도〉의 도상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화사의 의지에 의하여 약간의 변용이 가미되어 제작된 작품이다. 또한 19세기의 사회상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사회ㆍ사상적인 배경도 알 수 있어 흥미가 느껴지는 작품 가운데 하나로 주목할 만하다.

영문 초록

The painting of flaming light Buddha, which is based on the flaming light Buddha from the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is the fruit of the belief about the constellation. In addition, this is the painting illustrated the constellation of Buddhism, and can be shown both Taoist and Buddhist beliefs because this has the Taoist and Buddhist dependents. Until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icons of the painting were inherited by ones of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the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Goryeo Dynasty. But, these have changed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 new paintings were painted. As a result, the icons could become more various. For example, there is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This is described like that many constellations stand and descend upon the clouds rolled up their tails.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was painted by Sunhwa(善和) and Dosung(道成) in 1855. This has the meaningful and important painting, because this has the letters which is shown the names of the each dependents inside painting. Moreover, this composition of the frame is the same with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Chuneun(泉隱寺).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ch as the times, the locals and so on. futhermore they don't have any relations of the panters. Therefore, the painter, painted the one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might see or be based on the other in the Buddist temple of Chuneun(泉隱寺), because he had the recollection about the painting. Although the paint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was based on the other in the Buddist temple of Chuneun(泉隱寺), this is changed the names of the Taoist dependents to the new ones and shown more detail them. Because Taoism was widely spreading in that time, painted in 1855. Therefore, it can be guessed that Sunwha(善和) and Dosung(道成) painted this as the sociality of that time. In addition, the coronets of the Bodhisattva have circles. This is caused that the Bodhisattva of flaming light Buddha are the Sūrya-prabha(日光菩薩) and the Candra-prabha(月光菩薩). The painting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used the gold leaf on the total background without dependents and clouds. But, this is the unique, because the lines of clothes and the clothes shapes of Bodhisattva are the whites. Futhermore, this is interesting in writing the letters about the each colors and painted the each suitable colors. For such reasons, the painting of the advent of flaming light Buddha(Chisunggwang-yeorae-gangrim-Do, 熾盛光如來降臨圖) in the Buddist temple of Munsu(文殊寺) has the form of avent(Gangrim-Do, 降臨圖) and is only a few things painted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is was accepted the many thing's of the other in the Buddist temple of Chuneun(泉隱寺). Futhermore, this based on the other is altered by the painters. In addition, this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because this has the sociality of 19th century and can be shown the soci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at that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名稱과 圖像形式
Ⅲ. 화면구성 및 표현기법
Ⅳ. 泉隱寺 〈치성광여래강림도〉와의 비교
Ⅴ. 맺음말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은(Dong-Eun Lee). (2010).文殊寺〈熾盛光如來降臨圖〉考察. 佛敎美術, (21), 99-135

MLA

이동은(Dong-Eun Lee). "文殊寺〈熾盛光如來降臨圖〉考察." 佛敎美術, .21(2010): 99-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