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불교공예의 특성과 감식

이용수 3469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Appraisal of Korean Buddhist Craftworks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저자명
최응천(Eung-Chon Chi)
간행물 정보
『佛敎美術』第21號, 3~45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공예품의 감식은 크게 양식에 의한 감정과 기법에 의한 감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양식에 의한 감정은 형태와 재질, 색감, 녹의 상태 등으로 세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형태에 의한 감정은 불교공예품이 지닌 특색을 잘 파악하는 작업으로 여기에는 몇가지 주안점을 두고 살펴도록 한다. 불교공예품은 처음부터 사용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만든 것과 사용상의 기능보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형태에 기인한 예가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단순한 용도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형이 자연스럽지 않은 예가 있으나, 공예품은 지금과 마찬가지로 사람이 쓰기 적합하도록 만든 것이 순리라는 점이다. 시대적 특성과 문화를 먼저 고려하여 공예품이 당시 어떤 용도로 사용된 것인지를 파악하여야 하며 기형과 용도가 서로 부합되는지를 살펴보되 전혀 쓰임새가 불분명한 유물은 위작일 가능성이 많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재질과 색감에 의한 감정방법으로서 금속인 경우 여러 재질에 따라 색감의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재질을 가장 정확히 분석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비파괴 분석과 같은 과학적 분석 장비를 동원하여 유물의 성분을 파악하는 작업도 요구된다. 예를 들자면 금제품은 순금이지 도금인지를 분명히 파악토록 하며 도금인 경우 전통적인 아말감도금에서 오는 오래된 도금의 특징을 색감의 차이에서 찾아본다. 파손된 부위에는 이 부분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여야 하며 청동제의 경우 주조 당시의 합금의 차이에 따라 색감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은제품은 원래 흰색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검게 착색되기도 하여 은제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조선시대 유제품 또한 붉은 색이 생경하게 보이지만 주석의 차이임을 감안하여야 한다. 전체적으로 보존과학이나 성분 분석의 데이터, 고배율의 확대경과 같은 자료와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녹의 상태는 금속기의 감정에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오랜 세월동안 이루어진 청동 부식은 안정적이고 색감의 차이는 있지만 짙은 초록부터 에메랄드 색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전면에 녹을 인위적으로 입힌 경우 녹 표면이 고르지만 일률적으로 녹이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 천편일률적인 청녹은 일단 인위적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녹에서 심한 화학약품 냄새가 나는 것도 의심의 여지가 많으므로 냄새를 맡아보는 것도 중요한 방법이다. 표면에 녹이 슬어있는데 명문 안에 전혀 녹이 없는 경우는 명문이 나중에 추각되었거나 근래에 위조되었음을 밝혀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둘째 기법에 의한 감정은 다시 명문 분석, 문양, 장식과 제작기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명문은 불교공예품의 가치를 높여 줄 뿐 아니라 명문이 기록된 유물의 경우 높은 가격이 형성되어 원래의 유물에 나중에 명문을 위조하는 사례가 많으므로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불교공예품의 명문 기록은 일정한 패턴이 있는데, 예를 들자면 紀年銘, 干支銘 등의 製作日時와 施納寺院, 發願者, 發願文이 들어가며 말미에 제작에 관계된 人名, 重量 등이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간혹 年號로 기록된 연대와 干支가 서로 부합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당시 중국 연호와의 혼돈에서 오는 오류인지를 잘 살펴야 한다. 아울러 기록에 보이는 사찰이 이미 廢寺되었는데 기록되지 않았는지, 생몰년대가 확인되는 인물과 연대가 맞지 않거나 그 시대에 부합되지 않는 地名, 官廳이나 官職名, 발원자의 직급에 맞지 않는 격이 너무 떨어지는 유물 등은 위작일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모든 유물을 명문만을 가지고 유물의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것도 매우 위험한 감정의 하나임을 명심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문양은 그 시대에 유행하는 일정한 틀을 유지하고 있게 마련으로서 가령 포도문은 삼국시대에는 나오지 않다가 통일신라에 이르러 시문이 시작되었고 고려시대에는 동자와 같이 장식되는 葡萄童子文이 유행하게 된다. 이처럼 기형에 어울리는 시대의 문양인지를 살펴보는 것도 매우 중요한 감정 방법의 하나이다. 모든 문양에서 중요한 것은 시대적인 특징과 그 변화가 엿보인다는 점으로서 기존에 알려진 연구 성과 논문을 섭렵하면 이러한 문양을 살펴보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아울러 장식기법을 사용할때 전통 장인들의 경우 대대로 전해오는 전통 기법들을 전수받아 만드는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자신들이 새로이 제작기법을 발휘하는 예는 드문 편으로서 감정의 대상이 되는 물건이 그 시대에 적합한 기법으로 만들어 졌는지를 살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예를 들자면 범종의 경우 蜜蠟鑄造라는 전통기법, 쇠북의 경우 沙型鑄物法을 사용하는데, 주조 방법의 차이에 따른 주조의 흔적을 남기게 된다.

영문 초록

The appraisal of Buddhist craft works falls broadly into style-based appraisal and technique-based appraisal. First, style-based appraisal can be further addressed in the aspect of form, material quality, color sense and rusty condition. Appraisal by form refers to a work to well characterize Buddhist craft works, focusing upon several points. It seeks to analyze Buddhist craftworks many of which originate from traditionally inherited forms rather than designed for any intended purpose or functionality in usage. In some cases, they have unnatural forms designed not for simple purposes, but were originally designed to meet people's needs in their daily life like today. In advanced regard of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hich purposes or usages each Buddhist craftwork has in certain age. And it is required to carefully note that any artifact without certain usage is very likely a fak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examine if a craftwork has its form complying with its purposes. Next, appraisal of Buddhist crafrworks can be based on material quality and color sense. In case of metallic craftworks, there may be differences in color sense depending on their material quality, so it is required to correctly analyze material quality among other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employ a scientific analysis system like non-destructive analyzer, if necessary, to characterize chemical compositions of artifact. For instance, the appraisal of golden craft works requires clearly identifying if they are made of pure gold or are plated with gold, and the appraisal of gold-plated craftworks requires characterizing traditional golden amalgam plating depending on differences in their color sense. Damaged sections of Buddhist craft works should be more accurately analyzed in the appraisal, and bronze craftworks may reveal differences in color sense depending on alloy content applied at original molding process. And the color sense of silver craftworks sometimes tum from original white color to black staining over time, causing difficulties in correctly identifying it they were originally made of silver. In addition, brassware produced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may appear crude, but it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artar. Overall, it is recommended to appropriately employ data obtained from conservation science or composition analysis, and make a good use of instruments like magnifier with high magnification. Rusty condition is considered a crucial criterion for appraisal of traditional metallic craftworks. Bronze rust formed over hundreds of years is balanced and also has a wide variety of color senses ranging from deep green to emerald, and artificially rust-coated metallic craftworks have relatively even rusty surface, but there is almost no case of uniform rust formed on the surface of metallic craftworks. Monotonous blue rust is considered artificial, and serious chemical smells from rust leave a large room of questions, so it is important to have a smell of rust formed on metallic craftworks. Non-rotted inscriptive writings on the rotted surface of metallic craftworks are a good evidence of in-scriptive writings which were carved extra later or have been forged recently. Secondly, technique-based appraisal of Buddhist craftworks can fall broadly again into inscriptive analysis, patterns, decoration and preparation technique. Inscription requires careful observations, since it adds extra values to Buddhist craftworks, and traditional artifacts containing inscriptive writings are usually high priced in market, so that there are many cases of fake inscription modeled after original artifacts.

목차

1. 한국 불교공예의 의미와 성격
2. 한국 불교공예의 종류별 양상과 특성을 통해 본 감식
3. 불교공예품의 감식 방법론
4. 맺음말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응천(Eung-Chon Chi). (2010).한국 불교공예의 특성과 감식. 佛敎美術, (21), 3-45

MLA

최응천(Eung-Chon Chi). "한국 불교공예의 특성과 감식." 佛敎美術, .21(2010): 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