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운적 단어에 나타난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발생 위치

이용수 1036

영문명
Stuttering-Like Disfluencies in Phonological Words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전희정(HeeCheong Cho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5권 제3호, 422~432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EXPLAN모델의 한국어 적용을 살피기 위하여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발화에 나타난 비유창성이 단어 범주 간(내용어와 기능어)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음운적 단어 내의 단어 범주 위치 간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방법: 두 집단의 말더듬 아동에게서(2∼3세 8명, 4∼5세 10명) 수집된 발화를 전사하여 비유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단어는 내용어와 기능어로 나눈 후 음운적 단어로 분류하였다. 단어 범주 간, 음운적 단어의 형태 간, 그리고 음운적 단어 내 단어 범주 위치에 따른 말더듬 비율을 계산하여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1)말더듬 비율은 연령에 상관 없이 내용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가장 적은 비율을 보인 음운적 단어의 형태는 ‘기능어+내용어+기능어’ 였으며, 음운적 단어 형태 간 말더듬 비율은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3세 아동은 ‘내용어’형태의 음운적 단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말더듬 비율을 보인 반면, 4∼5세 아동은 ‘내용어+기능어’형태에서 말더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 ‘기능어+내용어+기능어’형태의 음운적 단어에서 단어 범주의 위치에 따른 말더듬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용어+기능어’형태의 경우 ‘내용어’가 ‘기능어’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말더듬 비율을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내용어에서 말더듬의 비율이 높았던 것과 두 집단이 음운적 단어의 형태 간 말더듬 비율에서 차이를 보인 것은 한국어의 특성 및 아동의 구문적 발달과 관련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기능어가 내용어에 선행한다 할지라도 기능어와 내용어 사이의 말더듬 비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어에서 관찰되는 비유창성이 내용어를 계획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이라고 여기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는 말더듬의 발생 위치가 언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EXPLAN 모델을 한국어를 사용하는 아동에게 적용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422-432.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ci of stuttering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EXPLAN model could be applied to Korean. Methods: Eighteen CW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2- to 3-year-olds and 4- to 5-year-olds. The participant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and transcribed, and stuttering-like disfluencies (SLD: single-syllable word repetitions, part-word repetitions, prolongations and blocking) were noted. Each word in the samples was classified as either a content word or a function word. Following Howell and colleagues, the rules of phonological words were applied to the speech samples. Stuttering rates of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overall speech samples, as well as those within the phonological words, were calculat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stuttering on content words compared to those of function words in overall speech samples regardless of age group. The most frequent type of phonological word was ‘content word (C) + function word (F).’ The younger-age group revealed a higher stuttering rate for a ‘C’ structure, whereas the older-age group showed a higher rate for ‘C+F’ struc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ttering rate between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which preceded a content word in the structure of ‘Fpre+C+Fpost.’ Discussion & Conclusion: Significantly more stuttering episodes on content words may be related to different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ldren. Additionally, the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ttering rate between C and Fpre in the ‘Fpre+C+Fpost’form implies that the loci of stuttering may be among languages and that the EXPLAN model, may not be fully applied to Korea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422-432)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희정(HeeCheong Chon). (2010).음운적 단어에 나타난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발생 위치.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 (3), 422-432

MLA

전희정(HeeCheong Chon). "음운적 단어에 나타난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발생 위치."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3(2010): 422-4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