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읽기이해부진아동의 다의어 의미 처리 특성

이용수 2168

영문명
Comprehension of Ambiguous Words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고선희(Sunhee Ko) 최경순(Kyung-Soon Choi) 황민아(Mina Hwa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5권 제3호, 348~356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성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서 문맥을 고려하여 적절한 단어의 의미는 활성화 수준을 강화하고 불필요한 단어의 의미는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의어를 포함하는 의미 관련성 판단 과제를 사용하여 읽기이해부진 아동들이 불필요한 단어의 의미를 일반아동들 만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읽기이해부진 아동 14명과 일반아동 14명이었다. 아동들에게 관형절의 마지막 어절에 위치한 다의어 또는 비다의어의 의미가 표적단어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하였고 그 수행에 대한 오반응수와 정반응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모두 비다의어 조건에서보다 다의어 조건에서 더 많은 오류를 보였으며, 읽기이해부진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두 조건 모두에서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정반응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한 결과 일반아동 집단은 다의어 조건과 비다의어 조건 간에 반응시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읽기이해부진 집단의 경우 비다의어 조건에서는 일반아동 집단과 유사한 반응시간을 보인데 비해 다의어 조건에서는 비다의어 조건에서보다 더욱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에 비해 문맥과 관련이 없는 다의어의 불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 348-356.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Frequently, a word has more than one meaning. During reading, readers should determine a word’s meaning relevant to a given context, while suppressing other contextually irrelevant meaning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ere able to suppress contextually irrelevant meanings of ambiguous words as effectively as coul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Fourtee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14 typically develop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children were upper elementary school aged. The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 meaning of the final word of a clause was related to the following target word. For all of the 64 experimental items, the meanings of the target words were not related to the meanings of the final words of the preceding clauses. Half of the final words of the experimental clauses were ambiguous words and the other half were unambiguous words. Sixty-four foil items were also generated so that the target words were related to the final meanings of the clauses. The reaction times as well as the response accuracies were measured in all children. Results: The poor comprehenders were significantly less accurate than were the normal children in judging the relatedness between the clause final word and the following target word. Both groups of children made more errors in the ambiguous word condition than they did in the unambiguous word condition. No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word type was observed. In terms of reaction times, the poor comprehenders were significantly slower in the ambiguous word condition compared to the unambiguous word condition, whereas the normal children’s reaction ti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conditions. Discussion & Conclusion: The poor comprehenders were less effective at suppressing contextually irrelevant meanings of ambiguous words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48-356)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선희(Sunhee Ko),최경순(Kyung-Soon Choi),황민아(Mina Hwang). (2010).읽기이해부진아동의 다의어 의미 처리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 (3), 348-356

MLA

고선희(Sunhee Ko),최경순(Kyung-Soon Choi),황민아(Mina Hwang). "읽기이해부진아동의 다의어 의미 처리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3(2010): 348-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