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80

영문명
Predic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애화(Ae Hwa Kim) 유현실(Hyun Sil Yoo) 황민아(Mina Hwang) 김의정(Ui Jung Kim) 고성룡(Sung Ryong Koh)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5권 제3호, 357~3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읽기이해는 읽기의 궁극적인 목적이며, 미국을 중심으로 읽기이해 능력을 예측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그에 비해 국내에서는 단어인지에 대한 예측변인에 대한 연구는 발표된 반면, 읽기이해에 대한 예측변인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읽기이해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학년~초등학교 6학년 총 511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자모이름, 자모소리, 단기기억, 작동기억, 어휘, 문장 따라 말하기, 듣기이해,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등의 예측변인 검사와 읽기이해 종속변인 검사를 실시한 후, 학년별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을 탐색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이해질문 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할 때, 4학년을 제외한 모든 학년에서 듣기이해가, 1, 2학년에서 문장 따라 말하기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근거 읽기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할 때, 어휘가 초등학교 2, 5, 6학년에서 읽기이해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읽기이해 검사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듣기이해와 어휘가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357-380.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Reading comprehension is the ultimate goal of reading; therefore,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mparatively, a large number of studies examining the predictive factors for word recognition have been published. However, a limited number of studies examining the predictive factors for reading comprehension are available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reading comprehension outcom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each grade level.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the predictive factor test including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letter naming, letter knowledge, letter-sound knowledge, short-term memory, working memory, vocabulary, sentence repetition, listening comprehension,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and the reading comprehension dependent variable test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of 511 first- through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reading comprehension outcomes for students in each grade level. Results: Listening comprehension was an important predictive factor for all grades except for the fourth grade, and sentence repetition was an important predictive factor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children when the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 test was a dependent variable. Second, vocabulary was the important predictive factor for the second, fifth, and sixth graders when the curriculum-based reading test was a dependent variable. Discussion & Conclusion: To summariz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were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reading comprehension, although the results showed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further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57-380)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애화(Ae Hwa Kim),유현실(Hyun Sil Yoo),황민아(Mina Hwang),김의정(Ui Jung Kim),고성룡(Sung Ryong Koh). (2010).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 (3), 357-380

MLA

김애화(Ae Hwa Kim),유현실(Hyun Sil Yoo),황민아(Mina Hwang),김의정(Ui Jung Kim),고성룡(Sung Ryong Koh).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5.3(2010): 357-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