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esthetic Education for Children in Practical Field from Pre-DBAE to Post-DBAE

이용수 298

영문명
DBAE 이전과 이후의 어린이를 위한 미학교육의 실천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Lee, Min Jung(이민정)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4券 2號, 315~33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학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서 교육과정에서 공식적으로 다루어진 것은 DBAE에서였다, DBAE 속에서 미학교육은 학문의 기초로서 접근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교육과정 속에서 미학교육이 공식적으로 다루어진 것이 DBAE가 최초라고 하더라도 그 이전에도, 미학교육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미학교육이 미술교육 속에서 실천되어져왔다고 본다. 본고는 미국의 미술교육에서 미학교육이 어떻게 실천되어져왔는지를 살핌으로서 미학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분명히 하고 현대의 미술교육에서 미학교육이 차지하는 위치와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미국의 공립학교 태동기인 19세기의 미술교육으로부터 시작하여 포스트모던까지의 미술교육 속에서 실천되어온 미학교육을 살펴보았다. 19세기는 계몽주의, 낭만주의, 독일의 관념주의 철학사조가 교육과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던 시대로서 미학교육도 이러한 사조의 영향을 받아 학교 교육에서 이루졌다. 따라서 미학교육의 방향은 감각기관을 통한 교육에 의해서 이성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향하여 있었다. 20세기는 과학기술의 발달, 프로이트 심리학을 비롯하여 아동의 심리와 욕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진보주의, 창의성 중심의 교육과 함께 아동 중심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이다. 듀이와 로웬펠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미학교육을 통하여 감각을 통한 미학교육의 중요성과 위치를 살펴 볼 수 있었다. 자유방임적 창의성 교육의 반성으로 시작되어진 학문중심 교육운동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DBAE에서의 미학교육은 예술과 세계에 대한 반성과 대화 중심의 교육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DBAE에서의 미학교육은 모더니즘의 이분법적 사고 아래에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미학교육에서의 기본적인 요소인 감각 경험을 간과하였고, 몸과 마음, 이성과 감성, 일상과 예술의 분리, 또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을 충분히 반영해 내지 못한 제한점을 가졌다. 포스트모더니즘이 태동함에 따라, 모던주의에서 추구하였던 절대 진리나 보편성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되었고, 이성과 감성, 일상과 예술, 현상과 본질의 경계는 허물어지게 되었으며 수많은 주의와 주장들로 가치관의 혼란의 시대라고까지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원래 미학이라는 용어가 가지고 있던 감각을 통한 지각이라는 의미는 더욱 중요한 테제가 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에 어떻게 세계를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미학교육과 연결되어진다. 미학교육은 우리가 세계를 살아가는데 비판적 의식을 가지고, 끊임없이 새로운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삶을 의미 있고 가치 있게 한다는 데 그 중요성과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DBAE made scholars and educator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esthetics in art education and aesthetic education when formally teaching children in curriculum settings. However, certain evidence points to the idea that aesthetic education for children was actually practiced before DBAE, although the term aesthetic education was not officially used in these early formal teaching structur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aesthetic education for children has been practiced from the pre-DBAE to post-DBAE periods, what aesthetic education meant for children, and what kind of philosophical positions and arguments were used to explain aesthetics’ significance or meaning. By doing so, this study will explore a promising justification for a contemporary approach to aesthetic education for childre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Aesthetic Education in the Practical Field
Ⅲ.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Lee, Min Jung(이민정). (2010).Aesthetic Education for Children in Practical Field from Pre-DBAE to Post-DBAE. 미술교육논총, 24 (2), 315-337

MLA

Lee, Min Jung(이민정). "Aesthetic Education for Children in Practical Field from Pre-DBAE to Post-DBAE." 미술교육논총, 24.2(2010): 315-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