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in Deutscher Paul Georg von Möllendorff und Korea im Zeitraum 1882-1885

이용수 17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Meung-Hoan Noh(노명환)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1집, 243~27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묄렌도르프 (Paul Georg von Möllendorff)는 1847년 2월 17일 독일 체데닉 (Zedenick in der Uckermarck)에서 태어났다. 1865년 봄에 할레대학에 입학하여 법률학과 언어학, 그리고 동양학을 공부하였는데, 특별히 언어에 천부적 재능을 지녔다. 1866년 - 68년 사이에 군복무를 하였고, 그후 북독 연방 수상청 영사과 (Norddeutsche Bundeskanzleramt für den Konsulatsdienst) 에서 근무하는 도중청조 중국이 세관원 (Seezollamt) 직에 지원하여 받아들여 져서 1969년부터 중국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정식 외교관 신분으로 근무하고 자 하였기에 현직에 늘 불만이었다. 그는 주 중국 독일공관과 좋은 관계를 갖지 못하였다. 특히 막스 폰 브란트 (Max von Brandt) 공사와의 개인적 갈등은 매우 컸다. 묄렌도르프는 당시 한국과의 관계를 담당하고 있던 중국의 정치인 이홍장의 개인비서가 되었다. 이홍장을 통해 그는 조선에서 고위 관리가 되는 인연을 얻게 되었다. 당시 오랫동안 조선은 쇄국정책을 수행해왔다. 바로 이 쇄국정책으로 인해 조선은 외국들에게 은둔의 나라로 각인되었다. 상업적 이해와 선교 목적 및 동아시아 진출의 교두보 확보라는 국제정치적 목적으로 외국들은 조선의 개방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1876년 조선과 일본의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은 수동적으로 개방의 길에 서게 되었다. 오랜 동안의 쇄국정책 이후 개방정책을 실시하는 가운데 여러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그중 하나가 외교문제 그리고 관세 문제 등에서 경험 부재로 겪는 곤혹스러운 상황이었다. 예를 들어 강화도 조약 이후 일본 화물선박의 통행이 많이 늘었는데, 5년이 지나도록 정부는 관세를 제대로 징수하지 못하고 있었다. 근대적인 의미의 주권 국가간 외교 관행에 대해서도 처음부터 배우며 외교정책을 실시해 가야 할 처지에 놓여 있었다. 그리하여 해관업무에 정통하고 외교적 자문을 해 줄 수 있는 외국 전문가를 필요로 하였다. 당시 조선 내부에서는 이러한 전문가를 구할 수 없었다. 조선의 고종 임금은 중국의 이홍장에게 이러한 전문가를 천거해 줄 것을 청탁하였다. 당시 이홍장은 고종의 요청을 받고 서양인 중에 한사람을 보낼 것을 숙고하게 되는데 당시 중국에 머물고 있던 독일인 묄렌도르프가 그 대상이 되었다. 서양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근대의 외교와 관세 제도를 다루는 데는 서양인이 적합할 것이며, 특히 이홍장의 입장에서 볼 때 중국인을 파견하게 되면 중국이 조선에서 일방적인 헤게모니를 장악하려 한다는 열국들의 의구심과 질시를 살 수 있었다. 그렇다고 중국이 전문가를 한국에 파견하지 않는 경우 이는 일본인 해관 및 외교 전문가가 초빙될 확률이 크게 하는 것이어서 매우 위험했다. 이는 일본의 영향력을 크게 진작시킬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홍장은 중국의 이해를 대변해 줄 수 있는 서양인으로 그의 영향력 하에 있는 묄렌도르프를 파견하고 자 했다. 조선의 입장에서는 서양인을 고위 공직에 초빙한다는 것이 국민 정서상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었기에 고심하였으나 달리 대안이 없어 그를 받아들였다. 1882년 조선과 미국간에 교역 및 우호조약이 체결된 후 외교 및 관세업무 전문가들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묄렌도르프는 1882년 12월 고종의 외교고문으로 조선에 왔고 바로 외무부 차관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는 무엇보다도 한국문화 적응에 역점을 두었고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는 조선의 외교적 독립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러시아를 끌어들여 중국, 일본 그리고 러시아가 세력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중립국으로서의 장래를 모색했다. 세력균형 원리에 의하여 전통적인 중국의 영향력과 새로운 일본의 침입을 막고 한국의 국가적 생존을 도모하는 한편 이를 뒷받침 할 국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묄렌도르프는 급격한 산업화를 달성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근대화를 역설하였으며 지하자원 개발 등의 사업에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여러 서양인들, 특히 독일인들이 초빙되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은 여러 독일의 제도와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그는 고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되었다. 그의 정책에 크게 불만을 갖게 된 일본, 영국, 미국 등의 거센 반발과 조선 정부 내의 반대 세력 그리고 특히 중국의 불신으로 1885년 12월에 조선을 떠나 다시 중국으로 가게 되었다. 조선으로 다시 귀임되기를 강력히 희망하였으나 끝내 뜻을 못 이루고 1901년 중국에서 사망했다.

영문 초록

Paul Georg von Möllendorff war am 17. Februar 1847 in Zedenick in der Uckermark geboren. Er besuchte Volksschule und Gymnasium in Görlitz und Universität Halle, um Rechtswissenschaft, Sprachwissenschaft und Orientalistik zu studieren. Am 1869 beendete er sein Studium ohne Abschluss. Am selben Jahr erwarb er eine Stelle in dem Seezolldienst in Shanghai des Kaiserreiches Chinas. Nach dieser Tätigkeit wurde er zu einem Privatsekretär des Provinzgouverneurs und Vizekönigs, Li Hongzhangs im Jahr 1882 in Tianjin. Li Hongzhang war für die Angelegenheit zu Korea verantwortlich. Seit dem koreanisch-japanischen Vertrag 1876 brauchte Korea die Fachleute der Aussenpolitik, des Zolls und des Aussenhandels sehr dringend. Möllendorff kam als aussenpolitischer Berater zu König Kojong nach Korea in Dezember 1882. Für diesen Ereignis war die Absicht Li Hongzhangs von besonderer Bedeutung. Nach seiner äußeren Meinung brauchte Korea einen Ausländer, der in Zollfragen gut Bescheid weiß, um mit westlichen Ländern Handel gut treiben zu können. Allerdings beabsichtigte er Korea, das "Einsiedlerreich", für Beziehungen zu westlichen Ländern zu öffnen und gleichzeitig japanischer Einflussnahme vorzubeugen. Diese Politik erschien ihm als eine konkrete und rationale Maßnahme, die Japaner daran zu hindern, die koreanische Zollverwaltung in ihre Hände zu bringen. Li Hongzhang wollte auch vermeiden, einen Chinesen für diesartige Stelle zu schicken. In solchem Fall konnte China zum Verdacht von anderen Mächten gezogen werden, daß es beabsichtige, auf Korea ausschliesliche Einfluß zu üben. China wollte solchen Verdacht unbedingt vermeiden. Möllendorff wurde vom König Kojong bei seinem Antrittsbesuch von 26. 12. 1882 als der Ministerialdirigenten des im vorigen Jahr (14. 2. 1881) gegründeten Außenministeriums ernannt. Durch die Kabinettsumbildung am 12. 1. 1883 wurde er zum Vizeminister. Wenn es sich um die Außenpolitik Koreas handelte, etablierte Möllendorff es als das allererst primäre Ziel, die staatliche Unabhängigkeit zu garantieren. Als konkrete Maßnahme dafür, versuchte er vor allem das Prinzip der Gleichgewicht der Mächte und Neutralität am Feld der Außenpolitik zu realisieren. Er ging davon aus, Rußland als ein Hauptecke in Ostasien für die Gleichgewicht gegen die Vormachtstellung Chinas und Japans zu betrachten. Gleichzeitig betonte er die Notwendigkeit der Industrialisierung auf dem Basis des modernen Bildungs- und Ausbildungssystems. Vor allem unterstich er die Bedeutung der beruflichen Bildungspolitik für die Industrialisierung Koreas. Er sah die Industrialisierung und die Herstellung des systematischen Volkserziehungssystems als Mittel und innere Bedingungen für die Unabhängigkeit und des Wohlstandes Koreas an. Möllendorff war sehr erfolgreich in der interkulturellen Adaption in Korea. Allerdings wegen seiner Bevorzugung zu Rußland wurde Möllendorf sehr heftig von einem Teil des koreanischen Kabinetts, den Großmächten Japan, China, Großbritannien und den USA kritisiert. Kojong stand unter dem schweren politischen Druck. Die Entwicklungen dieser feindlichen Situation führten allmählich zur Entmachtung Möllendorffs. 1885 wurde er seiner Ämter enthoben. Li Honzhang rief ihn zurück nach Tiannjin und er verließ Kore am 5. Dezember 1985. Möllendorff fand seine Tätigkeit wieder im chinesischen Zolldienst. Trotzallerdem vergaß er keineswegs Korea. Vor allem unterhiel er mehr als 15 Jahre lang nach dem Umzug zu China die Kontakte mit dem koreanischen König Kojong. Er wünschte sich sehr eine Wiedereinsetzung in Korea. Leider starb er plötzlich am 20. April 1901 im von Alter 54 Jahren unter ungeklärten Umständen in Ningbo.

목차

Ⅰ. Einleitung
Ⅱ. Hintergründe für die Einladung Möllendorffs als höher Beamter
Ⅲ. Leben und Aktivitäten Möllendorffs in korea und Deutscher Einfluß
Ⅳ. Schlußfolgerung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Meung-Hoan Noh(노명환). (2008).Ein Deutscher Paul Georg von Möllendorff und Korea im Zeitraum 1882-1885. 역사문화연구, 31 , 243-275

MLA

Meung-Hoan Noh(노명환). "Ein Deutscher Paul Georg von Möllendorff und Korea im Zeitraum 1882-1885." 역사문화연구, 31.(2008): 243-2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