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국주의 열강의 만주정책과 간도협약(1905-1910)

이용수 1183

영문명
The policy of Imperial Powers toward Manchuria and Sino-Japanese Treaty on ‘Gando’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최덕규(Choi Deok Kyu)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1집, 203~24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글은 제국주의 열강의 만주정책과 '간도협약'(1909.9.4)을 중심으로 포츠머스 조약(1905)이후 제2차 러일협약(1910) 체결로 마무리된 러일전쟁의 전후처리 과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08년 11월 30일 주미일본대사 다카히라 고고로(高平小五郞)는 미국무장관 루트(E.Root)와 중국의 영토보전과 상업상의 기회균등을 보장하는 "루트-다카히라 협정(The Root-Takahira Agreement of 1908)"을 체결함으로써 기존의 간도영유권 주장을 공식적으로 포기하고 말았다. 이는 1907년 8월 18일 용정촌에 통감부임시파출소를 설치하여 간도 영유권을 확보하려던 기존의 정책을 완전히 뒤집는 조치인 바, 미국이 고수한 “중국의 영토보전” 원칙과 일본의 “간도영유권 주장”은 상호 양립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다. 그렇다면 제2의 러일전쟁을 대비하여 한ㆍ중ㆍ러 3국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전략거점 간도의 점령이 필수적이라 판단한 일본정부가 이같은 계획을 철회한 원인은 무엇인가? 이는 일본의 간도침투가 만주분할의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한 제국주의 열강이 일본을 적극견제하고 나섰기 때문인 바, 특히 미국의 “문호개방정책(Open Door Policy)과 중국의 영토보전(the territorial integrity of China)의 원칙”은 일본의 간도영유권 주장과 결코 양립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일본의 만주침투는 열강의 간섭과 견제 속에서 그 속도와 강도가 조절되었기 때문에, 간도문제를 한ㆍ중ㆍ일 3국간의 문제로만 다뤄온 기존의 연구와 방법론은 보완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제1차 러일협약(1907.7.30)이 체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일 양국이 간도협약(1909.9.4) 조인 이후 제2차 러일협약(1910.7.4)을 체결해야 했던 원인과 그것이 한일병합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 러시아가 일본의 한국병합을 인정하는 제2차러일협약을 체결한 결정적 계기는 바로 간도협약이었다. 이는 "중국의 영토보전 원칙"을 제기한 미국의 만주정책과 간도영유권 주장이 양립 불가능함을 인식한 일본과 간도협약을 연해주방위의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한 러시아가 만주에서 양국의 기득권 수호를 위해 협상테이블로 나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러일양국은 1910년 7월 4일 만주의 현상유지에 합의하는 “만주에 관한 러일협약”을 체결하고 그 비밀조문에 일본이 북만주와 몽골을 러시아의 특수이해 지역임을 인정하는 대가로 러시아는 일본의 한국병합을 반대하지 않기로 약속하였다. 일본은 미국이 달러외교(Dollar Diplomacy)를 통해 만주침투를 추진하자 즉각 러시아와의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이전의 러시아가 주도한 제1차 러일협약과 구분할 수 있다. 만주철도의 중립화에 대한 미국무장관 녹스(Philander C. Knox)의 제안은 만주에서 기득권 세력이었던 일본과 러시아에게 대미 공동전선 구축의 필요성 공감토록 함으로써 주러일본공사 모토노 이치로(本野一郞)가 제2차 러일협약 체결을 러시아에 제안했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이 간도협약을 통해 길림과 회령을 연결하는 길회철도(吉會鐵道) 부설권을 확보한 것은 러시아에게 블라디보스톡을 포함한 연해주 방위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 됨으로써 막대한 방위부담을 안겨주었다. 따라서 러시아 역시 이 지역에 대한 방위계획이 완료될 때까지 일본과의 타협이 필요했던 바, 일본의 한국병합을 승인하게 되었다. 따라서 간도협약(1909)은 한중일 3국간의 국경문제가 아니라 제국주의 열강과 일본의 타협으로 이루어진 러일전쟁의 전후처리의 산물이며, 러시아로 하여금 일본의 한국병합을 묵인하는 결정적인 계기였음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주 논점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paper has been prepared in order to take a look into the resolution process after Russo-Japanese war which was ended up with the agreement of Russia-Japan Treaty along with focusing on the policy of Imperial Powers toward Manchuria and Sino-Japanese Treaty on 'Gando'. In November 30th of 1908, the Japanese Ambassador in US, Takahira Kokoro and the Secretary of State, Root made an agreement which backs for the territorial integrity of China and commercial equal opportunity "The Root-Takahira Agreement". Because of this, Japan has given up their previous claim of ownership on 'Gando'. The Agreement was also considered as a reverse policy against the previous ones which Japan has been tried to obtain an ownership of 'Gando' via installation of the residency-general's police stand in Yongjungchon(龍井村). The opposite reaction from Japanese Government toward ‘Gando’ was resulted from the im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US's "territorial integrity of China policy" and the Japan's claim of ownership on ‘Gando’. Then, what made the Japanese Government changed their mind on the decision which once they believed the occupying ‘Gando’ was crucial to prepare for the possible next war against Russia? The reason of change of policy on Gando stems from US's "Open Door Policy" and "the territorial integrity of China" which cannot be coexisted together with the Japan's claim on ‘Gando’. The Imperial Powers have concerned that the Japanese invasion of ‘Gando’ might lead the breakdown of Manchuria area of China. Since the whole process of Japanese invasion to ‘Gando’ has been balanced and matched with the active containment policy from the Imperial Powers,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ther factors to make up for the points where previously researched limited within only 3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Then, what is the reason of conclusion of the 2nd Russia-Japan Convention (1910, 7.4), even though the 1st Convention (1907.7.30) was not abrogated, and what is an impact on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1910. The crucial reason of engaging a 2nd Russia-Japan Convention which Russia recognized the occupation of Korea by Japan was directly related to the 'Gando' Treaty. Russia and Japan had to make a deal with each other because Russia had believed that the US's "territorial integrity of China policy" on Manchuria region could be a potential threat to its national security and at the same time Japan also believed that Japan's Gando Treaty would not be successful due to the US's foreign policy on Gando. From the deal, Russia and Japan made a conclusion of the 2nd Convention in July 4th of 1910 and they also made secretive mutual agreement inside of the deal that Japan would recognize the northern Manchuria and Mongol regions were Russia's special interest areas for the part of the exchange of allowance to Japan's occupation plan to Korean Peninsula. This 2nd Convention can be distinguished with the 1st Convention since Japan had tried to come up with the alternative plan with Russia, when the US tried to invade to Manchuria region via "Dollar Diplomacy". The Neutralization of all the railways in Manchuria which was recommended by the Secretary of the State, Knox (Philander C. Knox) and it led the separately vested interest countries such Japan and Russia to as one cooperative group against US. Thus, the mutual needs of between two countries were finally acknowledged and recommended by The Japanese ambassador to Russia Ichiro Motono Ichiro for conclusion of the 2nd Convention. The Japan's Kirin-Korea railway concession from Kilin to Hoeryong had given tremendous pressure for Russia's defense strategy regarding to the region of Primor region including Vladivostok. Thus, Russia had to approve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since Russia needed to save time to complete to build their national defense strategy.

목차

I. 머리말
II. 일본의 만주침략 정책과 간도문제의 국제화
III. 제국주의 열강의 대일견제와 간도협약
IV. 미국의 만주철도중립화안과 제2차 러일협약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덕규(Choi Deok Kyu). (2008).제국주의 열강의 만주정책과 간도협약(1905-1910). 역사문화연구, 31 , 203-242

MLA

최덕규(Choi Deok Kyu). "제국주의 열강의 만주정책과 간도협약(1905-1910)." 역사문화연구, 31.(2008): 203-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