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地圖와 記憶

이용수 552

영문명
A map and the memory - A view point of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about “Ryukyu” in the 17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배우성(Bae Woo Su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26집, 223~25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같은 지식과 정보는 서로 다른 지역에서 공유될 때 어떻게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을까. 그 서로 다른 해석에는 어떤 역사적·문화적 경험들이 반영되어 있을까. 이 연구가 주된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17세기의 유구이다. 동아시아 역사에서 17세기는 역사적 전환점이기도 했다. 중국대륙의 지배자가 명에서 청으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동북아시아에 많은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전통적 중화질서가 해체되면서 생겨난 가장 의미 있는 변화는 동아시아 삼국이 각각 자신을 중심으로 세계를 바라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청은 명의 문화를 흡수하고 새로운 국제질서를 수립해 나갔다. 조선은 청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국제질서에 편입되었으나, 사상적으로는 조선이 중화 문화의 유일한 계승자임을 자처했다. 일본은 자신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질서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동북아시아 삼국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았다. 이 세계관들이 충돌하는 지점에 유구가 있었다. 15세기만 하더라도 유구는 동아시아 해상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던 독자적인 왕국이었다. 유구는 중국에 조공하고 조선이나 일본과는 활발하게 교류했다. 그 뒤 유구와 조선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1609년 사쓰마에 정벌당한 유구는 그 뒤 일본의 정치적·경제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유구를 그린 한 장의 도면이 동아시아 삼국에 유통되었다. 이 지도는 각 나라들의 역사적 문화적 경험들을 반영하면서 다르게 읽혔다. 청은 유구를 책봉국가의 하나로 여겼다. 유구의 문화를 야만적인 것으로 보는 편견은 서서히 극복되어 갔지만, 청은 유구를 정치·외교적 맥락에서 이해했다. 일본이 국제질서의 중심에 있다는 점을 민중들에게 각인시키고 싶어 했던 에도 막부는 유구의 사절에게 이국풍, 곧 중화풍을 강요했다. 조선은 중화문화적인 정체성을 기준으로 세계를 바라보았다. 조선이 유구에 대해 중화문화국가라는 점을 주목한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어떤 이들에게 유구는 책봉국가였으며, 다른 이에게는 중화문화국가였으며, 또 다른 이에게는 여전히 해양국가였다. 한 장의 도면은 동아시아 삼국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읽혔다

영문 초록

If the same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flowed to different countries, how can they explain it in different ways? What historical and cultural experiences are in that explanation? The main target of this research is “Ryukyu” in the 17th century. In the east asian history, the 17th century is a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that the ruler of the Chinese continent, “Ming” was changed into “Ching”. The most meaningful change that the dismantlement of traditional Chinese rule happened is that each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regarded itself as the middle of world. There was “Ryukyu”, in this world views' clash point. In this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Ryukyu and each of the three countries was adjusted. Especially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Chosun” and “Ryukyu” was broken. After “Ryukyu” was conquered by “Satsuma” in 1609, it was influenced by not only “China” but also “Japan”. In this situation, the one map which “Ryukyu” was drawn, was flowed around the three countries. This map, which reflects historical, and cultural experiences until now, was read in different ways, in different countries. “Ching” usually regarded “Ryukyu” as one of the invested countries. Even the Ching's bias that “Ryukyu” is the barbarious country, was slowly tide over, “Ching” understanded “Ryukyu” in a political, and diplomatic way. “Edo” Bakuhu that means Japan feudal government, which wanted to make Japanese people that Japan is the middle of the international rule, forced the envoys from “Ryukyu” to make foreign mood. It directly means Chinese mood. But, “Chosun” understanded the world by their standard which “Chosun” is the only one that can accede the Chinese culture. That's the reason why “Chosun” paid attention to “Ryukyu”. “Ryukyu” was a part of the invested countries to some people, it was the country that acceded Chinese culture to the another people, and it is the ocean country as usual to the others. The one map, was read in different ways in the “three different east asian count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약증의 유구지도와 그 사본
Ⅲ. 책봉국가로서의 유구
Ⅳ. 해양국가로서의 유구
Ⅴ. 중화문화국가로서의 유구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우성(Bae Woo Sung). (2007).地圖와 記憶. 역사문화연구, 26 , 223-253

MLA

배우성(Bae Woo Sung). "地圖와 記憶." 역사문화연구, 26.(2007): 223-2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