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3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언론, 공연,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지향성 연구

이용수 212

영문명
A Study on cultural orientation of ethnic Koreans' media, theatre and literature in Central Asia - Based on the materials from mid of 1930 years to mid of 1980 year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혜승(Lee Hye Seu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26집, 113~14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17년 혁명 이후 소비에트 문화의 물적 토대는 정치 권력에 전적으로 종속되었다. 문화는 체제 우호적인 호모 소비에트쿠스의 형상을 인민 대중에게 선전하는 역할을 맡았다. 고려인 문화는 소비에트 문화의 큰 틀에 따라 외적 동기로 성립되고 권력에 의해 인위적으로 ‘배양’된 까닭에 타자의 문화로 출발하게 되었다. 고려인 문화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주제와 소재는 사회주의 혁명의 찬양, 노동의 숭배, 영웅의 찬미 등 사회주의 리얼리즘 계열이었다. 체제 지향적 가치의 형상화 뒤에는 고려인들 자신의 ‘역사’가 은폐되었다. 민족문화의 형식을 잘 보존한 작품들은 민족주의의 발현이라기보다 사회주의를 다양하게 포장하는 이국적 취향의 보존이며 정신을 거세한 ‘박제’로서의 성격이 짙었다. 고려인 문화는 고려인들이 실제적으로 추구했던 가치와 문제 의식, 지향점들을 배제함으로써 고려인들 자신에게 타자화되었다. 생산과 소비 패턴의 경우, 민족어를 구사하는 고려인들의 수가 급감하면서 민족 문화의 명맥은 극동 원로 세대를 제외하고는 북한이나 사할린 등 외부 이민자들이 이어나갔다. 민족어로 쓰인 신문과 공연, 작품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소비자층 역시 극소수에 불과했다. 고려인 문화는 그 생산자들이 소비자 대중을 정서적으로 대변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실제 소통되는 문제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대다수 고려인들에게는 타자의 문화였다. 고려인 문화는 비주류 소수 민족의 문화인 까닭에 주류 사회인 소비에트 문화에는 ‘타자’의 문화였다. 그리고 고려인들의 역사와 고유한 가치, 고려인들 자신의 실제적인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고려인들 자신에게도 ‘타자’의 문화로 남았다.

영문 초록

After the Socialist revolution, all of the cultur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became nationalized. Ethnic Koreans' culture in Central Asia was made and inculcated by political power. The Soviet policy converted culture into a main instrument of ideological propaganda. The Otherness of Korean culture was, first of all, caused by material subordination to power . A worship of Soviet political heroes and aspiration toward construction of communism were the main issues of Soviet Koreans culture. On the contrary, critical issues like forcible deportation were not touched by Korean works. Specific forms of Korean national culture had been preserved by power in the Soviet period. But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means to keep exotic taste presenting socialism in diverse way and stuffed specimen eradicating cultural spirit. A Language problem turned out to be critical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orean ethnic culture. The number of Koreans who can speak national language was radically decreased. Ethnic Koreans' culture was produced, either by old generation born in Far East, or young generation like Sakhalin and North Korean immigrants who were considered as outsiders. In addition to that Korean language couldn't be understood by the majority of people born in Central Asia who assimilated in Russian culture and language. Ethnic Koreans' culture was remained as a culture of Others. First, it was a culture of minority which was excluded from mainstream Russian culture. Second, it reflected superficial ideological values instead of real history, life and identity of Koreans. Finally, it functioned as rather a pamphlet art and production of social order than a means for practical communication of Korean people.

목차

Ⅰ. 머리말
Ⅱ.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화에 나타난 지향성
Ⅲ.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승(Lee Hye Seung). (2007).193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언론, 공연,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지향성 연구. 역사문화연구, 26 , 113-142

MLA

이혜승(Lee Hye Seung). "193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언론, 공연,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지향성 연구." 역사문화연구, 26.(2007): 113-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