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향토 문화 자료의 자원화 방안 연구

이용수 441

영문명
A study on methods of resource rendering of local cultural informatio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한동현(Han, Dong-hyu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6집, 325~36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북과 같은 새로운 디바이스의 등장은 탈 종이화 시대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새로운 디지털 기기를 통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콘텐츠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따라서 더 많은 콘텐츠가 제작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이 만들어져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역사는 인류 경험과 지식의 보고이며 인간의 삶의 총체성을 담고 있다. 현재를 사는 우리는 과거를 통하여 창의력을 얻고 미래를 준비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 자료들은 무수히 많은 콘텐츠로 기획되어 활용될 수 있고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역사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향토 문화 자료를 자원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고 했다. 자원화라는 용어는 원자료를 콘텐츠 개발의 리소스가 되는 자원으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노나카 이치쿠로가 제시한 지식창조 프로세스에 비교될 수 있다. 폴라니는 지식을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암묵지와 암묵지가 외부로 표출되는 형식지로 구분하였다. 노나카 이치쿠로는 이를 발전시켜 암묵지가 형식지로 형식지가 다시 암묵지로 변환되는 네 가지 변환 과정(공동화, 표출화, 연결화, 내면화)을 제시하였다. 필자가 제시하는 자원화 과정은 지식창조 프로세스 중 연결화 과정에 포함되었고, 역사 자료 가운데 대중들이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운 문헌 자료나 유물, 유적 등을 메타데이터와 시각화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들이 활용하기 쉽도록 만드는 것이다. 메타데이터 작성 시 자료들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내용 분석을 해야 하며, 분석된 내용은 사용자들이 잘 볼 수 있도록 정보를 디자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현재 많은 향토 문화 자원들이 보존, 발굴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 자원들 대부분이 대중들에게 알려지지 못하고 활용되고 있지도 않다. 한국 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향토 자료들을 자원화 하여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은 공공기관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첫 번째로 공공기관들이 향토 문화 자료들을 수집해 왔고, 보관하고 있기 때문이며, 두 번째는 향토문화 자료들이 공공재로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미 공공기관들은 이미 수집된 다양한 정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본 논문에서 필자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우리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의 사례를 통하여 역사 자료의 자원화 과정을 보여주었고 이를 바탕으로 김천시 향토 자료의 자원화 방안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역사 자료들은 스토리텔링을 하기가 용이하며, 스토리텔링은 영화, 연극, 애니메이션, 도서 등과 같은 다른 콘텐츠들의 기본 토대가 된다. 따라서 스토리 개발을 중심으로 하여 향토 자료들을 자원화 한다면 지금까지 빛을 보지 못했던 많은 자료들이 알려지게 될 것이고, 우리 문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e are now witnessing so-called new devices such as smartphone, tablet PC, e-book getting rid of paper in our daily life, in slow but constant pace. Now consumers are enabled to consume content thanks to these devices, and this trend brings up the need for diverse content. History is an aggregate of human experiences and knowledge which reveals itself as a whole. We who live today get creativity from the past and prepare for the future. So, historic resources can be, and should be transformed into countless number of content so as to be accessible to public. The writer of this thesis aims to propose methods concerning resource rendering of local cultural data or information. The term of resource rendering, equivalent to SECI process proposed by Nonaka Ichikuro, refers to the stage where raw materials are transformed into resources of content development. Nonaka, departing from the classic categorization of knowledge proposed by Michael Polanyi, proposed four stages of knowledge transformation cycle of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 The writer’s proposal is relevant to the process of Combination which aims to facilitate content developers to utilize historic data or information through metadata and visualization, which will bring 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meaning of historic resources for public. When establishing metadata, one should consider connectivity of different resources, analyze its contents, and include design process so as to ameliorate its readability for users. Even at this very moment, discovery of cultural resources is on the way, but their exposure and usage are somehow limited. In respect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amelioration of their usage should not be neglected,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take the leading rol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it is they who have large collection of cultural data or information because they have taken charge in discovering and collecting them. Secondly, the nature of local cultural data or information is public, which means they should remain open for public. Thirdly, the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can make possible the organic usage of cultural data or information collected by multiple institutions. In this thesis, departing from the case study of the Korea Culture Archtypes Digitalization project executed by Korea Creative Contents Agency, the writer described the resource rendering process of historic data or information and proposed Kimcheon city’s case as its viable example. Historic resources are suitable for storytelling. Storytelling serves as basis of many other contents, such as movie, drama, animation, books, and so on. So, if we concentrate on the resource rendering of historic data or information in regards of story development, this will unveil many historic resources which have been hidden for long time, and they will greatly enrich our cultures.

목차

Ⅰ. 머리말
Ⅱ. 자원화 과정
Ⅲ. 향토 자료 자원화 과정에서 공공기관과 인문학자의 역할
Ⅳ. 자원화 사례 및 향토 문화 자료에의 적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동현(Han, Dong-hyun). (2010).향토 문화 자료의 자원화 방안 연구. 역사문화연구, 36 , 325-361

MLA

한동현(Han, Dong-hyun). "향토 문화 자료의 자원화 방안 연구." 역사문화연구, 36.(2010): 325-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