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張保皐선단과 신라하대 불교조각

이용수 697

영문명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Jang Bo-go's Fleet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崔聖銀(Choe, Song-Eu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32輯,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신라하대 9세기 전반의 불교조각을 통하여 불교미술에 끼친 張保皐船團의 영향을살펴본 논고이다. 장보고 선단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불교미술 기록은 전하지 않지만 장보고선단을 통하여 唐의 미술품이 신라로 전해지고 신라의 문물이 당으로 건너가는 등, 兩國사이의불교미술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前提아래, 순천 松廣寺목조불감, 서남해안지역과 인접한 남원 實相寺, 장흥 寶林寺, 곡성 泰安寺등 선종사찰들에 조성된 철불, 절강성寧波박물관 소장의 통일신라 금동불입상에 대해 살펴보았다.松廣寺목조불감은 栴檀香木으로 만든 휴대용 목조 佛壇으로 圓仁의 日記에 신라인 이원좌로부터 檀龕像을 선물받은 기록에서도 알 수 있듯이 唐代에는 소형 목조불감이 크게 유행했던것으로 보인다. 송광사 불감은 中唐期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9세기 전반경에 신라에 전해진것으로 생각되는데, 일본에 전해오는 金剛峯寺, 普門院등의 목조불감과 세부표현에서 유사성을 보여, 당의 대도시에는 목조 불감을 만드는 전문 공방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중대신라기에는 보이지 않던 철불들이 신라하대에 이르러서 조성되는데는 동보다 값싼 쇠의경제성과 신라하대의 사회적인 여건을 생각할 수 있겠으나, 이에 못지않게 唐에서 유행했던철불에 대한 신라인들의 인식이 중요하게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남해안 인근 지역에 개창된 선종사찰에서 대형의 철불들이 주조되기 시작한 것은 신라 승려들의 철불에 대한이해가 높아진 결과라고 생각된다.한편, 통일신라의 불상이 중국에 전해졌거나 신라인들에 의해 중국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예로 寧波天封塔宮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금동불입상을 들 수 있다. 이와 같 은 불교미술품의 전래 혹은 새로운 불상재료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배경에는 신라하대에 와서대당무역과 교류가 활발해진 된 점을 꼽을 수 있을 것이며 여기에는 장보고선단이 중요한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Silla Buddhist sculptures of the first half of the ninth century and the influences of Jang Bo-go's fleet on themofAlthough textual evidences are not extant, it is presumed that cultural relations between Silla and Tang became more intimate, due to the fact that many Silla monks and laymen found it easier to reach Tang by marine transportation of Jang's fleet, and that a lot of Tang Buddhist artifacts were imported to Silla to be traded. The small portable wood Buddhist shrine at Songgwang-sa Temple at Suncheon is assumed to an example of Buddhist goods made in Tang, which was most likely brought to Silla in the first half of the ninth centuryof According to Ennin's diary, he received a wooden Buddhist shrine from Yi Won-jowa, a Silla layman who was of high official rank in Tang, which suggests that portable wooden shrines might have been a popular item imported by Jang's fleet from Tang. Iron Buddhist images, which had not been made in Silla in the eighth century, became popular from the ninth century on. The iron Vairocan Buddha image at Borim-sa Temple in Jangheung datable to 859 A.D. and the iron Buddha image at Silsang-sa Temple in Namwon datable to first half of the ninth century were made in South Cholla province near the west coast. It is assumed that from the ninth century people could travel to Tang more frequently on Jang's fleet, and saw the many huge iron Buddhist images which were popular during the Tang period. They came to see iron as a good material for making Buddha images, because iron was cheaper and stronger than copper. Recently, a Silla bronze Buddhist image was found in Ningbo Museum by a Korean scholar. This image shows the typical form of a Silla standing Buddha image of the late eighth and early ninth centuries. It is probable that this image was brought from Silla to Tang, or else it was made in Tang by Silla sculptors. This image indicates not only that many Tang goods were brought to Shilla, but also some Shilla goods (or craftspeople) were brought to Tang as well. It is quite certain that the development of marine transportation such as Jang Bo-go's fleet in the late Silla perio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s of both Buddhist culture and artifacts between Tang and 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서남해안 지역의 불교조각
Ⅲ. 신라불상의 당 전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聖銀(Choe, Song-Eun). (2010).張保皐선단과 신라하대 불교조각. 선사와 고대, 32 , 5-33

MLA

崔聖銀(Choe, Song-Eun). "張保皐선단과 신라하대 불교조각." 선사와 고대, 32.(2010): 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