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軍威麟角寺출토 佛敎金屬工藝品의 性格과 意義

이용수 953

영문명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metal craftworks excavated from Ingak-sa in Gunwi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최응천(Choi, Eung-Cho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32輯, 71~10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8년 10월 군위 인각사(軍威麟角寺)에서 출토된 불교공예품은 우리나라 최초로 승탑지(僧塔址)에서 발견된 일괄 유물로서 청동 병향로(炳香爐)와 청동 향합(香盒), 청동 정병(淨甁), 청동원통형 이중합(二重盒), 청동 금고(金鼓) 등과 같이 다채로운 종류의 불교공예품이 완전한 상태로 발견된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중국 신회선사(神會禪師)의 묘탑(廟塔)(756)에서 발견된공양품과 매우 유사한 의궤와 형식을 지니고 있어 당시로서 선구적인 금속공예품이 통일신라에 도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그 가운데 손잡이 향로는 손잡이 끝 부분에 사자상이 조각된 정교한 형태로서 안정된 기형과세련된 세부 표현 등에서 일본, 중국에 남아있는 작품보다 훨씬 뛰어난 조형성을 보인다. 볼록한 몸체에 세련되면서도 날렵한 기형을 보여주는 두 점의 정병은 지금까지 밝혀진 통일신라 정병가운데서도 가장 시대가 앞선 예로 평가된다. 그리고 탑뉴(塔鈕)의 모양이 더욱 정교해진 탑뉴계(塔鈕蓋) 합(盒)은 사리기(舍利器)가 아니고 향합(香盒)이라는 점을 확실히 입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원통형 이중합은 통일신라부터 이미 제작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적극적인 자료가 되고있다. 청동 발(鉢)은 그 외형에서 쇼쇼인(正倉院), 호류지(法隆寺) 소장의 사와리완(佐波理鋺)과 거의 동일한 형태와 기법을 지닌 점에서 이러한 통일신라 작품이 일본에 전래된 것임을 입증할수 있게 되었다. 이곳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금고(金鼓)는 당좌(撞座)에 연화문이 처음으로 등장하고 당초문이 중구(中區)에 시문되기 시작하는 고려 금고(金鼓)로의 이행과정을 보여주는 가교적 역할을 지닌 중요한 자료이다. 끝으로 함께 발견된 중국산 햇무리굽 청자완은 9세기 월주요(越州窯)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서 잔편이 아닌 완벽한 상태로 발견되어 우리 청자의 기원과 발전, 무역 도자 등의 제반 사항을 해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이처럼 다양한 성격을 지닌 인각사 출토 불교공예품은 그 제작시기가 대체로 8세기 후반에서9세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 해당되는 금속공예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에서 인각사 출토 유물은 통일신라 문화의 국제적인 면모와 교류 상황을 밝혀볼 수 있는 새로운 시각과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Buddhist craftworks excavated from Ingak-sa in Gunwi-gun in October 2008 are the first bundle of relics ever found at the site of a stupa. They are significant because their types are various including a bronze incense burner with handle, bronze incense case, bronze kundika, bronze cylinder-shape duel case with a lid and bronze buddhist gong and because they were excavated intact. They are quite similar to works offered to Budda which were excavated from a stupa(756) for the Chinese Master Shen-hui in terms of the method and form. This tells advanced metal craftworks at the time had a direct influence on Unified Silla. Among those craftworks, the incense burner with a handle is a sophisticated one with an image of a lion carved at the end of the handle. It is far better than Chinese or Japanese works in terms of shape and detailed expression. In addition, the two kundika whose bodies are round and sharp are considered as examples of the ones created earlier than any other ones foun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Unified Silla era. Furthermore, the case with a pagoda-shaped lid which is more sophisticated than ones created earlier clearly proves that the case is not a sarira case but a incense case. Moreover, the cylinder-shaped duel case with a lid is a reliable material showing the case already began to be created in the Unified Silla. The bronze bowl whose outward shape and technique are almost same as those of Sawariwan at Shōsōin and Horyu Temple can prove that craftworks of Unified Silla were imported into Japan. The excavated temple gong of Unified Silla is an important material showing its transition into temple gongs of Goryeo on whose striking point lotus blossom patterns first appeared and on whose middle part arabesque patterns began to appear. Lastly, the Chinese celadon bowl with solar halo base excavated with other craftworks was found to have been created at Woljuyo kiln in the 9th century. It was excavated intact, playing a crucial role in presenting answers to lots of questions on Korean celadon including its origin and development and trading ceramics. A variety of Buddhist craftworks excavated from Ingak-sa were mostly created between the late 8th and the 9th century, when metal craftworks were rarely produced. Therefore, those relics are expected to provide a new view and material that can help to prove the international aspects and exchanges of Unified 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河南省洛陽市神會禪師塔출토의 불교공예품
Ⅲ. 麟角寺출토 불교공예품의 특징과 성격 고찰
Ⅳ. 麟角寺출토 불교공예품이 지닌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응천(Choi, Eung-Chon). (2010).軍威麟角寺출토 佛敎金屬工藝品의 性格과 意義. 선사와 고대, 32 , 71-109

MLA

최응천(Choi, Eung-Chon). "軍威麟角寺출토 佛敎金屬工藝品의 性格과 意義." 선사와 고대, 32.(2010): 7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