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箕子관련 商周靑銅器銘文과 箕子東來說

이용수 340

영문명
Kija-related Bronze Scripts during the Shang and Zhou Dynasties and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박대재(Park, Dae-Jae)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32輯, 111~14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73년 중국 遼寧省喀左縣北洞村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㠱侯’ 명문에 대해 중국학계 및국내학계 일부에서는 箕子東來및 箕子朝鮮의 고고학적 증거라고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喀左의 ‘㠱侯’명 청동기는 箕子집단의 이주 내지 건국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西周초기(기원전1000년 전후) 북경일대의 燕國이 객좌지역에 단기간 진출하였다가 남긴 ‘燕國靑銅器’의 일종이다.북경 琉璃河고분 등 서주 초기 燕國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에서는 ‘㠱(箕)’族뿐만 아니라 객좌일대에서 출토된 殷유민의 族氏명문이 다수 확인되는데, 이는 이들이 서주 초기 燕國의 지배 아래에 있었던 유민 집단이었음을 시사해준다. 燕國의 청동기 명문에서 商代의 유력 족씨였던‘㠱’족이 보이는 것은, 商멸망 후 箕族이 북경일대로 이주 정착하여 燕侯의 지배에 속해 있었기 때문이다.객좌일대에서 燕侯및 그 예하 殷유민 족씨집단인 㠱․微․伯矩․魚(圉) 등의 명문 청동기가출토되었다는 점에서 이 지역에 燕國세력이 진출했던 것은 인정되지만, 이 지역의 토착문화(魏營子文化)를 변경한다거나 또는 중원으로부터 주민을 식민할 정도의 장기적인 것이 아니라단기적인 진출이었다고 이해된다. 기원전 1000년 전후 객좌일대에 진출했던 燕國세력은 곧이어燕國북쪽지역의 유목민족인 山戎의 흥기와 기후의 갑작스러운 한랭건조화로 인해 이 지역에서후퇴하게 되는데, 大凌河유역에서 서주 중기 이후 중원식 청동예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는 것은바로 이 때문이다.

영문 초록

Chinese academic circles have recently clamored that the historicit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and Kija Chosŏn has now been archeologically proven. This argument has been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bronze script reading “Kihu(㠱侯)” discovered at the Beidong in Liaoning Province’s Kazuo County. However, the bronze script reading “㠱侯” uncovered in Kazuo County is not related to Kija’s migration or the foundation of a state, but rather to a ritual ceremony conducted by the Marquis of Yan during wartime. More precisely, it was rendered during the State of Yan, which was based in the Beijing area during the early Western Zhou Era (circa 1000 BC), temporary branching out to the Kazuo area. Large numbers of scripts related to the ‘Ki(㠱,箕)’ clan have been found amongst the bronze remains attributed to the State of Yan during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that have been located in ancient tombs such as the Liulihe Ancient Tomb in the Beijing area. The bronze script reading “㠱侯”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under the category of the bronze articles produced by the State of Yan. The discovery of a bronze script linked to the ‘Ki’ clan, which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clans during the late Shang Dynasty, amongst the bronze articles of the State of Yan dating from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Ki clan migrated to the Beijing area after the collapse of the Shang Dynasty, and was subsequently plac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rquis of Yan. The State of Yan was forced to temporarily relocate its forces south of Yanshan from the Kazuo area by the southward advance of the nomadic Shanrong ethnic group that began during the 10th century BC. The temporary nature of this relocation can be understood to be the reason why Central China-style bronze articles were no longer evident in the Kazuo area from the mid Western Zhou era onwards. Therefore, given the arche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the State of Yan during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recently discovered in the Beijing area, the theory that the ‘Ki’ clan migrated to the Kazuo area to establish Kija Chosŏn cannot be supported by the discovery of the bronze script reading “㠱侯” found in the Kazuo area.

목차

Ⅰ. 머리말
Ⅱ. 遼寧喀左의 ‘㠱侯’銘銅器와 箕子東來說
Ⅲ. 商周靑銅器의 ‘其․㠱’族銘과 燕國의 箕族
Ⅳ. 大凌河유역 商周靑銅器銘文의 성격과 燕侯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대재(Park, Dae-Jae). (2010).箕子관련 商周靑銅器銘文과 箕子東來說. 선사와 고대, 32 , 111-149

MLA

박대재(Park, Dae-Jae). "箕子관련 商周靑銅器銘文과 箕子東來說." 선사와 고대, 32.(2010): 111-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