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法門寺地宮茶具와 통일 신라 茶文化

이용수 1108

영문명
Tea Things From Famen Temple and Tea Drinking Culture Of Sill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송란(Lee, Song-Ra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32輯, 35~7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차나무의 어린 잎을 따서 만든 차를 음료로 마시는 차문화는 시대 취향, 사회 경제적 문제,그리고 공예의 구조에 따라 변모하는 양상을 보인다. 차가 음료로서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중국 3세기 삼국시대로 파악되는데, 남북조시대를 거쳐 수당대에 이르러 보편적인 음료가 되었다.차문화의 전개에서 陝西省扶風縣城北에 위치한 法門寺8각 13층 塼塔의 地宮출토의 도자기와 금은기로 구성된 다구 세트는 唐代에 성행하였던 보편적인 차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점에서주목된다. 9세기 후반에 제작된 법문사 지궁 다구들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사료와 실물 자료의부족으로 당대 차문화와 다구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고증하기 어려웠다.이에 이 글에서는 금은과 유리 그리고 비색 청자의 최고의 재질로 제작된 법문사 다구를 통해당대 차문화의 성격과 의의를 분석하여 보았다. 법문사 지궁의 다구는 당의 황제 희종이 생전에쓰던 것으로 868년과 869년 사이에 왕실 공방인 문사원에서 제작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監送眞身使隨眞身供養道具及賜恩金銀寶器衣物帳>에 기록된 품목과 실제 매납된 다구를 분석하여7사를 차를 가는 본체와 가는 축으로 구성된 茶碾子, 본체, 서랍, 망 세부분으로 구성된 차를가루로 치는 다라자, 그리고 차숟가락과 차를 그릇에 푸는 국자로 보았다. 또한 유리제다탁자 와 비색청자, 그리고 10매의 파라자는 차가루를 그릇에 놓고 물을 부어 이를 휘저어 마시는점차법을 상기시킨다. 육우의 􋺷茶經􋺸에는 煎茶法으로 3-5인 분을 한 솥에 놓고 끊이는 것이적당하다고 하였다. 이런 방법으로는 많은 사람들은 한꺼번에 차를 마시기 어렵다. 따라서 사찰에서 행해진 다례에서는 방법이 번거롭기는 하지만 점차법이 선호된 것으로 알려진다. 저면이좁고 몸체 부분이 점차 넓어지며 비교적 높은 형태의 윤화형 청자완은 점차법에 부응한 기형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당대 왕실에서 사찰의 茶法을 적극 수용한 것을 반영한다. 이는 세속인인왕의 다구가 불교 유적인 탑의 지궁에 매납된 맥락과도 일치한다.통일신라에서는 8세기 중반까지는 식음료에 쓰이는 완이나 수주 등의 기형이 수입도자기에나타나지 않는 반면 8세기 후반부터 장사요 도기, 형요 백자, 월주요 청자의 직구연의 기형에옥벽저의 굽을 가진 완이 집중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기형의 완과 주자는 통일신라 차문화와 연관된 다구로 이해된다.8세기 후반부터 다완으로 추정되는 도자기가 대거 통일신라에 수입되는 것은 통일신라에 중국차문화가 확산되는 양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통일신라유적에서 출토된 중국에서 수입된 수주와 주자 기형의 도자기로 볼 때 통일신라 왕실과 불교 사찰에서는 餠茶를 갈아서 수주에 넣어우린 다음 완에 따라서 마시는 병차의 음용방식이 수용된 것으로 파악된다.한편 8세기 후반과 9세기의 전반의 장사요 수주는 주구가 짧고 직구인 반면 9세기 후반으로편년되는 황룡사와 청해진 출토의 월주요 주자의 주구는 길고 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는당말 시기에 시작된 중국의 點茶문화와 그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이는 통일신라에서 점차법을 점차 선호하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더불어 9세기 중후반대에 청해진에서 출토된 청자주구편이 일본 9세기 유적인 淨明寺의 청자수주와 비교되는 것은 장보고선단으로 대표되는 통일신라의 중계무역을 조심스럽게 상정해보았다. 9세기 통일신라 차문화의 확산에는 장보고 선단의 중국 남방으로부터 일본 大宰府까지 연결되는 무역로에서 진행된 중국도자기와 차의 수입이 중요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ea drinking culture shows the pattern of changes as trend, economic problems and craft structures change throughout different eras. This earliest recorded present of tea in world history can be dated within the decade extending from A.D. 264 to 273. In the Sui and Tang dynasty after the Period of Northn and Southern Dynasties, tea became a commonplace drink for the Chinese people. In the context of unfolding the tea culture, the ceramics and gold and silver tea things found in the underground palace of Famen temple(法門寺) where is located in Famen town, Fufeng County, 120 kilometers west of Xi'an City, Shaanxi Province., attention for the fact that it reflects a typical tea culture that was popular in Tang dynasty times. Before excavating the tea utensils of underground palace of Famen temple, it was difficult to ascertain historical truths regarding Tang dynasty's tea culture and the composition of tea things due to lack of materials and data. Thus this document analyzes the Tang dynasty tea culture through the tea things produced with the best materials of gold, silver, glass and ceramics. The tea things unearthed from underground palace of Famem temple were once used by Yizong(毅宗) who had held the last activity of Buddha relic acquisition in Tang Dynasty. And it is assumed that tea things underground palace of Famem temple produced between the years of 868 and 869 in Munsawon(文思院), a royal workshop. Analysis of the items listed on equipments and the actual buried tea utensils showed seven-tea-things with the composition of a tea roller of a main body and a axis, composition for Tiao Da Zi (多羅子), a tool that horizontally draws tea, as three parts of main body, drawer, and a net as well as and a teaspoon and a ladle that scoops tea on the dish. In addition, the glass bowl and dish, a porcelain bowl of a secret color and 10 pieces of gilded silver plate reminds one of deffernt type of drinking tea by pouring water into a dish with tea leaves and stirring it. In Lu Yu's The Classic of Tea(茶經) it says that with the way of Jian-cha(煎茶法), it is appropriate to boil 3-5 people's portion in one pot. Such a method makes it hard for many number of people to drink tea simultaneously. Tneoufore it is knnnn that even if it was tedious, the tea ceoumony conducoufore temple preferred the way of Dian-cha(點茶法) instead. A celadon bowl shape of a blooming flower in the mouth with a quite tall shape, narrow bottom with its main body widening gradually, is assumed to be the shape in conformity with the way of Dian-cha. This also fits the context that tea utensil for the king, a secular person, was buried in the Famen temple's underground palace, a Buddhist artifact. It was contemplated that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until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the shapes of bowls or water dropper that were used for food and beverages could not be ascertained but from the late 8th century bowls with a jade pi-shaped foot ring for earthenware from Changsha Kiln(長沙窯), white porcelain of Xing Kiln(邢窯), and ceradon of Yue Klin(越窯) was excessively discovered. It could be found that bowls with such shapes were used as tea bowls. The fact that bowls which were used as tea bowls were imported en masse to unified Silla from late 8th century can be interpreted as the expansion of Chinese tea culture in unified Silla. Based on the water droppers and jugs excavated from unified Silla artifacts, Chinese tea culture, luxury goods in royal palaces and Buddhist temples, can be assumed to have had the drinking method of cake-tea; grinding the cake-tea, extracting after putting it in the water dropper and drinking it in a bowl.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법문사 지궁 다구의 구성과 특징
Ⅲ. 당대 茶문화에서 법문사 다구의 위치와 의미
Ⅳ. 통일신라 茶문화에 미친 당대 차문화의 영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송란(Lee, Song-Ran). (2010).中國法門寺地宮茶具와 통일 신라 茶文化. 선사와 고대, 32 , 35-70

MLA

이송란(Lee, Song-Ran). "中國法門寺地宮茶具와 통일 신라 茶文化." 선사와 고대, 32.(2010): 3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