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직선거제도에서 여성후보추천할당제의 타당성 검토

이용수 204

영문명
Review of the appropriateness of gender quota system in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system -centered on the revision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System-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김재선(Jae-Sun, Kim)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6卷 第1號, 115~14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랫동안 여성에게 부적합하고 먼 영역이라고 인식되어 왔던 정치 영역에서 최근들어 여성 리더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여성 국회의원 비율은 13.7%로 세계적으로는 86위를 기록하여 여전히 사회․문화 분야에 비하여 더딘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적극적 조치로서 도입된 여성후보추천할당제는 모든 정당에게 일정 비율의 후보자를 여성으로 추천하도록 의무화하여 여성후보의 당선률을 높이는 제도이다. 여성후보할당제는 잠재적 후보할당제, 후보할당제, 여성 특별의석할당제로 나뉘는데 이 중 여성특별의석할당제를 제외한 잠재적 후보할당제와 후보할당제는 헌법 제11조, 제32조, 제34조에 근거하여 여성특별기본법과 공직선거법을 기초로 한다. 우리나라 공직선거법은 2000년 정당법에서 비례대표 후보 30% 여성공천의무화 규정을 도입한 이후, 2002, 2004, 2005년에 이어 2010년까지 정당법과 공직선거법을 개정하여 2010년 2월 지방선거에서 선거구마다 광역의원, 기초의원 중 최소 1인을 여성으로 추천하여야 하는 의무규정을 도입하는 정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적극적으로 여성후보할당제를 도입한 프랑스나 아르헨티나, 스웨덴의 제도를 참고하여 도입한 우리 공직선거에서의 여성후보할당제는 정치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서 국민의 대표성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공공성이 매우 크다는 점, 정치조직의 열세․선거 경험의 부족․유권자의 인식 등 우리나라의 정치현실상 여성의 진출이 특별히 어렵다는 점, 전세계적으로 여성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여성의원의 비율이 여전히 낮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 또한 공직선거법상 여성후보추천할당제는 국회의원 또는 지방의원의 의석 자체를 여성에게 배정한 것이 아니라 정당이 ‘추천할 수 있는’ 후보자의 비율을 간접적으로 여성으로 할당한 것이므로 후보자가 될 수 있는 자격 자체를 제한한 것은 아니므로 정당 추천을 받지 못한 예비후보자의 경우에는 무소속으로 입후보하여 공정하게 선거를 치를 수 있으므로 기회의 평등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정당을 통한 간접적인 여성후보추천할당제에 해당하므로 일반적인 여성할당제에 비하여 그 수단이 기본권 최소침해성의 원칙에 부합한다고 보인다. 반면에 이 수단의 채택으로 얻는 이익은 여성 후보할당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대단히 크다고 볼 수 있으므로 법익의 균형성의 원칙에도 반하지 않아 그 타당성이 인정된다. 실제로 여성후보추천할당제를 도입한 2000년 이후 선거에서 여성 당선자의 비율은 과거에 비하여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2010년 6월 지방선거에서도 여성의원의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할당제 뿐만 아니라 대선거구제도, 폐쇄명부식 비례대표제와 같은 여성에게 유리한 선거제도의 도입도 검토할 수 있으며, 대만과 인도에서 시행된 바 있는 여성전용선거구제도 역시 평등선거 의 원칙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입이 검토될 수 있다.

영문 초록

While the recognition that the political world is not appropriate to women and so far from them has been prevailing, women leaders are on the increase in the world. However, the ratio of femal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as just 13.7%, ranked 86th country in the world, displaying the politics is not developed than the fields of society and culture. Gender quota system actively introduced to overcome it and expand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s a system that every political party is obliged to keep the certain quota of female candidates, increasing the ratio of female winning numbers. Gender quota system is divided into potential candidate quota system, candidate quota system and special female quota system; excluding the latter one, the former two systems would be based on the Special Women Basic Act and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ccording to article 11, 32 and 34 of the Constitution. The domestic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first introduced 30% proportional representative candidate of women in the Political Party Law of 2000 and then, as the Political Party Law and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have been revised from 2002 thru 2004, 2005 and 2010, it was progressed that every election district should have at least one female candidate among local council members. Introducing the gender quota system by referring the election system of France, Argentina, Sweden and Germany, the domestic gender quota system shall have the appropriateness in terms of publicity securing the national representation than other fields, difficulty of female’s political activity due to the domestic political restriction such as poor political organization, lack of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voters, and the currently low ratio of female council members despite of active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world. Since the gender quota system does not allocate a certain number of women in the National Assembly or local councils but indirectly allocate the ratio of female candidates that may be recommended by political parties, which means it does not restrict the qualification of candidate and any candidate can run for election independently though they are not allocated,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system does not restrict the fair opportunity. In addition, as it comes under the indirect female candidate recommendation of political party, it seems that the means would comply with the least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 comparing to the general gender quota system. On the contrary,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benefit of adopting the system would be more significant than not executing the quota system, consequently corresponding to the balance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its appropriateness can be recognized. Indeed, in the elections after 2000 when the quota system was first introduced, the ratio of female winning candidates seeme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an the past elections, so this June local election would result in the similar ratio. Besides, the election systems profitable to female candidates such as major constituency system and closed list system of proportional members could be reviewed, and the female exclusive election district, which is executed in Taiwan and India, could be reviewed to introduce as long as such systems do not infringe the principle of equal lection.

목차

Ⅰ. 서론
Ⅱ. 공직선거에서의 여성후보추천할당제
Ⅲ. 외국의공직선거여성후보추천할당제도입현황
Ⅳ. 여성후보추천할당제도입의법적타당성검토
Ⅴ. 그 밖의 선거제도와 여성의 대표성 증대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선(Jae-Sun, Kim). (2010).공직선거제도에서 여성후보추천할당제의 타당성 검토. 세계헌법연구, 16 (1), 115-148

MLA

김재선(Jae-Sun, Kim). "공직선거제도에서 여성후보추천할당제의 타당성 검토." 세계헌법연구, 16.1(2010): 115-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