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루치안 블라가의 신화시극(神話詩劇), <자몰세 -이교의 신비->에 나타난 사상과 상징

이용수 72

영문명
Thoughts and symbols implied on by Lucian Blaga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이호창(Lee, Ho-Chang)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6권 제1호, 199~23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2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블라가의 '신화시극(神話詩劇 teatru mitic şi poetic)'들 중에서 첫 번째로 발표된 작품인 <자몰세 -이교의 신비->는 루마니아의 고대 신화이자 종교였던 자몰세와 그의 사상에서 영감을 받고 이를 재구성하여 신과 인간과 우주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조명하고 있는 작품이다. 블라가가 고대 신화 속의 자몰세를 자신의 신화시극 속에 불러들인 것은 현세의 불합리한 가치관들을 극복할 수 있는 초월자의 모습을 표현할 모형으로 삼기 위함이었다. 블라가는 자몰세의 삶에 독창적인 사건들을 가미하고 새로운 주변 인물들을 등장시킴으로 인류 역사를 전반적으로 암시하는 풍부한 상징들을 더했으며 그 속에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하는 새로운 사상들을 내포시켜 놓았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각각의 인물들은 특정한 개인인 동시에 인간 사회 각 집단의 특징을 상징하는 인물들이기도 하다. 자몰세는 인간과 자연이 진정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길을 찾기 위한 정신적 여정에 나선 목마른 시인인 동시에 존재의 절대 가치를 찾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철학자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마그사제는 자신의 권력만을 추구하려는 현대의 정치 권력가들 또는 보편종교의 배타적 성직자들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을 지니고 있다. 마그사제의 친구인 주술사는 권력가들의 기득권을 유지시키기 위한 이념적 체계를 만들어 내거나 그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어용 지식인들을 나타낸다. 양치기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대변자 역할을 하는 언론매체들의 모습과 유사한다. 보초서는 병사는 신념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가나 사회 운동가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게보스는 비록 곱사등이라는 신체적 결함을 타고 났지만 세속적인 가치관들로부터 해방된 삶을 누리는 진정한 자유인이라 할 수 있다. 이 신화시극은 이들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두 개의 축을 이루는 갈등구도가 서로 엮이면서 사건들이 진행된다는 특징을보인다. 갈등구도 중의 하나는 마그사제를 중심으로 야기되는 자몰세와 인 간들 사이의 갈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자몰세가 스스로 겪고 있는 내면적 고뇌에서 발견할 수 있다. 자몰세와 인간들 사이의 갈등은 정신 중심의 가치관과 물질 중심의 가치관의 대립, 탈세속적 이상(理想)과 세속적 지배이데올로기의 대립 구도로 나타나고 있다. 자몰세의 내면적 갈등은 절대가치에 대한 끝없는 동경에서 출발하여 결국에는 그 절대가치를 위해 숭고한 희생을 치르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이 작품은 복잡한 사회 속에서 물질적 가치관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총체적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자기성찰의 계기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Lucian Blaga was an eminent writer, but at the same time he was a famous philosop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thoughts and symbols included in his first ‘mythological poetic drama’, inspired by Geto-Dacian's supreme god, named Zamolxe and his religion. In this drama, ancient Zamolxe is reborn as a new character, like a poet who is on his mental journey to find a way through which human being and nature can communicate Stating “God is dead”, Nietzsche expressed the gloomy of present age when we are neglecting “the absolute value”. In a similar way Blaga said in his philosophy-essay, “The destiny of our age is very tragic, because we need to have a new religion but we can not find a new god for this religion anywhere”. Blaga's work was inspired by a myth of the ancient people of Dacia but it is basically a mirror which reflects our tragic ages. For us who have become slaves to the material values in complex societies, this work gives us an opportunity of self-examination, that is to contemplate the whole value of life. In addition, myth of “The Great Blind”, spoken by Zamolxe, which regards god, human and nature as one absolute existence, will make us to reflect on the absolute value of human that he should be.

목차

국문 개요
1. 들어가는 말
2. 고대 역사서와 문학 속의 자몰세
3. 블라가의 <이교의 신비>의 내용과 구성
4. 중요 등장인물의 특징과 상징
5. 맺는 말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호창(Lee, Ho-Chang). (2004).루치안 블라가의 신화시극(神話詩劇), <자몰세 -이교의 신비->에 나타난 사상과 상징. 동유럽발칸학, 6 (1), 199-234

MLA

이호창(Lee, Ho-Chang). "루치안 블라가의 신화시극(神話詩劇), <자몰세 -이교의 신비->에 나타난 사상과 상징." 동유럽발칸학, 6.1(2004): 199-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