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어 민족 멘탈리티의 재현으로서의‘의지(воля)’개념

이용수 49

영문명
Concepts ‘Will' as the Representation of Russian Mentality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임흥수(Im, Heung-Su)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6권 제1호, 27~5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2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언어단위의 분석을 통하여 러시아인의 민족 멘탈리티를 살펴보려는 연구구상의 한 부분으로 ‘의지(воля)’ 개념(концепт)을 체계화해 보려는 시도로서, 민족 멘탈리티의 특성을 재현하는 언어단위(주로 관용어) 의 문화적 암시의미(культурная коннотация)를 분석한다. 단어결합은 개념 구성을 파악해볼 수 있는 최소의 콘텍스트이며, 개념은 인간의 심리에 반영되어 있는 세계상(картина мира)의 편린이다. 따라서 언어형식들에 새겨진 세계상이 언어사용자의 세계관(또는 멘탈리티)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단어결합으로 이루어진 문화언어인 관용어를 검토해야 한다. 민족 멘탈리티 특성의 내용은 문화적 암시의미에서 나타나며, 이 문화 적 암시의미는 문화적 의의를 설명해 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적 암시의미 내용을 기술하기 위해 여러 유형의 관용어들을 분석한다. 관용어는 해당 언어공동체의 물질적, 사회적 또는 정신적 문화와 관련된 형상체계가 고정된 민족어의 단위로서 민족 문화적 경험과 민중의 전통에 의해 형성된 세계상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거기에는 언어적 표현과 민족 멘탈리티의 관계가 들어 있다. 민족 멘탈리티 특성의 내용은 문화적 암시의미에서 나타나며, 문화적 암시의미는 실제로 생생하게 사용된 관용어의 고유 의미를 민중의 문화코드와 상호관계를 맺게 한다. 문화코드와 언어적 의미의 상호관계가 문화적 암시의미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이 암시의미는 언어 단위들에게 문화적 의미를 지니게 하는 유연성을 부여한다. 문화적 암시의미란 문화 범주들에서 외연적인 측면 또는 비유적으로 유연관계인 측면의 의미 해석을 말한다. 문화적 암시의미는 민족 문화적 특수성에 의해 제약된 의미의 부가적인 뉘앙스를 뜻하며 문화적 의의를 설명해 준다. 의지를 대개 자신의 의지와 타인의 의지로 구분한다. 자신의 의지는 개체내부에서 일어나는 열망, 희망, 번민, 고뇌 등의 동력이며 타인의 의지 또한 또 다른 독립된 개체의 자신의 의지로서 심상을 통제한다. 따라서 자신의 의지와 또 다른 독립된 개체인 타인의 의지의 만남은 상황에 따라 분쟁의 씨앗이 되기도 하고 화합의 단초가 되기도 한다. ‘의지’의 관용표현을 통해서 러시아인들이 어떠한 인식을 전제로 가치부여를 하고 판단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의지’ 개념장에 해당하는 200여개의 관용표현들을 ‘자신의 의지’와 ‘타인의 의지’, 자신의 의지와 또 다른 독립된 개체인 타인의 의지의 만남인 ‘두의지’로 구분하여 러시아어에 반영된 ‘의지’의 개념을 분석한다. 러시아어에서 의지는 선/악과 관련된 인간의 다양한 내재적 상태를 외적으로 발현시키는 원천이다. 의지는 인간의 바람과 목적을 실현시키는 능력 이자 목표를 향한 의식적 노력이요, 열망이자 욕구이다. 동시에 의지의 개념은 독립된 개체로서의 인간과 인간, 독립된 개체로서의 인간과 전체로서의 언어사용자 집단, 또는 각 언어사용자 집단간의 오랜 문화적 역사적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воля(의지)’는 개인이나 집단의 역사적 체험과 결부되어 때로는 хотение(의지)와 때로는 инстинкт(본능)과 동의관계에 놓인다. 또한 ‘의지’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폭 넓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의지의 발로인 기쁨, 슬픔, 사랑, 분노, 두려움, 미움 등의 감정에 해당문화의 가치체계가 반영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from the stand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nd spiritual culture, language and national mentality, and tries to reveal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dealing with concrete data,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concepts 'will' as the representation of russian mentality in phraseological units(PU) and the semantic importance of cultural connotations realized in them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mentality. Most of the Russian PU reflect the ethnic-cultural experience of the Russian people. Essentially the functional approach to the correlation of the peculiarities of ethnic culture and phraseology is a topical problem of investigations in phraseology. The study of the question gives an opportunity to regard the ontological picture of language as a social phenomenon.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peculiarities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PU and the semantic importance of cultural connotations realized in them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mentality. The PU play a special role in cultural heritage and ethnic identity because the picture of world of ethnic culture is realized in the metaphorical contents of the phraseology. We will analyze various types of the PU as much as possible to describe the above-mentioned facts in this paper.

목차

국문 개요
1. 들머리
2. 문화적 암시의미와 사회적 멘탈리티
3. ‘의지’ 개념 관용어의 주제장별 분류
4. 마무리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흥수(Im, Heung-Su). (2004).러시아어 민족 멘탈리티의 재현으로서의‘의지(воля)’개념. 동유럽발칸학, 6 (1), 27-52

MLA

임흥수(Im, Heung-Su). "러시아어 민족 멘탈리티의 재현으로서의‘의지(воля)’개념." 동유럽발칸학, 6.1(2004): 27-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