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何生奇遇傳>과 육체의 서사적 재현

이용수 129

영문명
A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 Body in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정규식(Chung, Ku-Sik)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3집, 231~26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何生奇遇傳>에 형상화된 육체의 서사적 재현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에는 여성의 육체가 가족이라는 제도와 사회적 권력에 의해 사물화(事物化)되어 하나의 수단으로 전락하는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다. 부모가 지은 죄의 대가를 딸의 죽음이라는 가장 극단적인 육체에 대한 처벌로 대신한다. 그 과정에서 여인의 현실적 육체는 해체된다. 하지만 이러한 사물화는 하생으로 인하여 극복된다. 사물화되어 버린 여성을 만나게 된 하생은, 그녀를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응시하게 되고 나아가 그녀의 육체를 환유적으로 재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사물화된 여성의 육체는 환유적으로 재구성되어 현실계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육체의 사물화를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한다. 여인의 부모는 딸의 환생을 도와준 하생을 마땅치 않게 여겨 딸과 하생의 혼인을 거부한다. 그러자 여인은 육체를 혹사시키는 방법으로 부모의 뜻에 저항하며 하생과의 인연을 강조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여인의 부모는 자신들의 잘못을 반성하게 되고 하생과 여인의 혼인을 승낙한다. 사물화되어 있던 여인의 육체가 완전한 탈사물화되는 순간이다. 가족이나 사회에 예속되어 있던 여인의 육체가 자신이 선택한 하생에게로 귀결되면서 제도나 권력으로부터 해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이 흥미있는 것은 존재의 불연속에 있던 하생과 여인이 육체의 탈사물화와 더불어 존재의 연속을 담보하게 되고 그것은 다시 스스로에 대한 정체성 확립에 이르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이 <何生奇遇傳>에 형상화되어 있는 육체의 서사적 재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a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 body which is storied in . Here, is a Jeongi novel that was written by Shin Gwang Han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In the novel, a woman experiences having her body just objectified as a means by institutional family and social powers. She is extremely punished into death on behalf of her parents who committed a crime. This makes her real body disorganized. At this time, Hasaeng meets her. Seeing her body objectified, Hasaeng comes to have a sexual desire for her and , in a metonymically, restructures her illusive world and body. He gradually approaches her and finally has a sexual intercourse with her. Carrying ‘geumcheok’, a golden ruler symbolizing her, he returns to the real world and then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her parents. With her body restructured, the woman returns to the real world, too. Nevertheless, the body still remains somewhat objectified. Despite Hasaeng helped revive their daughter's life, the parents rejects marriage between him and their daughter because he was lower in social status. Then the woman drives herself relentlessly, resisting to her parents and stressing her close relationship with Hasaeng. In this case, the parents reflect on what they did to Hasaeng and finally accept marriage between him and their daughter. This is the very moment when the objectified body of the woman is completely disobjectified. In other words, the women is liberated from institutions or powers as her body, which was subordinate to family or society, comes to belong to Hasaeng who she found herself. Here,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Hasaeng and the woman, who were discontinuous in existence, come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so-called body disobjectification and finally reach a firm establishment of their own identity. This is the very point of , that is, a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he body.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 제기
Ⅱ. 육체의 서사적 재현 양상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규식(Chung, Ku-Sik). (2009).<何生奇遇傳>과 육체의 서사적 재현. 한국문학논총, 53 , 231-261

MLA

정규식(Chung, Ku-Sik). "<何生奇遇傳>과 육체의 서사적 재현." 한국문학논총, 53.(2009): 231-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