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광수의 내선일체 논리 연구
이용수 261
- 영문명
- A Study of Yi Gwangsu's Naeseonilche(내선일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홍기돈(Gi-don, Ho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9輯, 381~4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re is an error in Seonamhwagueon(書南華卷, 서남화권), a poetry of a great Buddhist priest, Seosan quoted in Nanjeoh(亂啼烏, 난제오), the novel of Yi Gwangsu: a misdescription of frivolous fox(孽狐, 얼호), denoting Jangja(莊子, 장자) into half-blood tiger. This originated from the unconscious to protect Beophwagyung, which was likened as Jangja and criticized. Yi, in the face of the death of his son Bonggeun, started to seek for a world of faith joining life with death, on his way to which he met Beophwagyung, so he couldn't give up the faith at all. Yi's understanding of Beophwagyung, remaining in the incantation-level, was joined on toward following Naeseonilche. Yi stood on a logic that we, passing by the former life, this life and the future life, change over the position of a harmer and the injured, venting a retribution for the deeds of a former life, so we should answer “yes” to the present situation.
According to this, the concern of Yi as a nationalist was being toward a time zone before thousand of years. It was a necessary means to show the high spirit of nation affirming the present. But the world should be no more than an illusion because Yi would infuse a nation-state concept of his day to make the past world. Moreover, considering that he followed Naeseonilche, he should have broken the world himself. On the basis of his contradiction, Yi's mechanism of error around Beophwagyung functioned secretly.
목차
1. 「亂啼烏」와 착오의 메커니즘
2. ‘봉근’의 죽음과 『법화경』의 세계
3. 이광수의 『법화경』과 내선일체의 논리
4. 『원효대사』가 놓인 자리
5. 불교의 기본 가치와 민족이라는 관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사량의 <노마만리> 연구
- 한국어교재에서 나타난 명사 관련 문법 형태의 영어설명에 대한 고찰
- 대전 유성구 성북동 동제 고찰
- <救龍談>의 사적 전개와 변이
- 한국시의 탈근대적 재현 연구
- 러시아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 竹泉 趙最壽의 燕行錄과 對淸意識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서울’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 나타난 간도의 이주와 디아스포라의 귀소성 연구
- 高句麗 王稱語 小考
- 語文硏究편집 및 심사규정 외
- 구비문학의 현재적 의의 찾기
- 韓中詩經論의 편집비평 연구
- 박용래 문학의 아이텐티티 연구
- 이광수의 내선일체 논리 연구
- 윤동주 산문 연구
- 오수연 연작 『부엌』의 원형성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