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竹泉 趙最壽의 燕行錄과 對淸意識
이용수 175
- 영문명
- Jukcheon-Jo, Chae-soo's diarial Travel Sketch & His Consciousness of 'Ching'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정만호(Man-ho, Jeo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9輯, 185~2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imed at introducing three sorts of diarial travel sketches Jukcheon-Jo, Cha-soo left and second, looking into his consciousness of 'Ching' revealed in his travel sketches in 'Ching.'
Jukcheon-Jo, Chae-soo liv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and left three sorts of travel sketches in 'Ching', such as a daily-record-format 'Travel sketches in 'Ching' in the Year of Imja[the 49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Record of Chinese verses exchanged with other literary persons during a 'Ching' journey', in 1732, and 'Record on his 'Ching' journey' written in the format of Chinese poetry in 1738. The existence of ''Travel sketches in 'Ching' in the Year of Imja[the 49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became known to the world thanks to his descendants' donations but the remaining two sorts of 'Travel Sketches in Ching' was newly discover materials, so this research ascertain historical evidence of each material through this research paper and introduced its record format and contents.
Jo, Chae-soo's “Travel Sketches in Ching” includes a variety of contents, such as a lot of hardships in the process of journey in 'Ching', beautiful scenery he witnessed on his itinerary, and what he saw and heard at the actual place.
Amongst all the most conspicuous was his critical perspective of Ching's society at that time. This research paper, noting this point, examined Jo, Chae-soo's critical consciousness of Ching's customs. Jo, Chae-soo was envious of Ching's immense territory and advanced civilization, but he belittled Ching as a country ignorant of manners. The main reason lay in the Ching's customs in which people even including the descendants of a noble family shamelessly searched for financial gains in the midst of luxury, secularized prevalence of Buddhism and booming business.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se materials on new 'Travel Sketches in Ching' which this paper introduced, will be serving to the literature on 'Travel Sketches of 'Ching Journey' and other related fields; in addition, I am looking forward to the succeeding research as for the real assessment of the value of these 'Travel Sketch in Ching' as academic data.
목차
Ⅰ. 序論
Ⅱ. 竹泉 趙最壽의 生涯
Ⅲ. 趙最壽의 燕行記錄
Ⅳ. 燕行錄에 나타난 趙最壽의 對淸意識
Ⅵ.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사량의 <노마만리> 연구
- 한국어교재에서 나타난 명사 관련 문법 형태의 영어설명에 대한 고찰
- 대전 유성구 성북동 동제 고찰
- <救龍談>의 사적 전개와 변이
- 한국시의 탈근대적 재현 연구
- 러시아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 竹泉 趙最壽의 燕行錄과 對淸意識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서울’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 나타난 간도의 이주와 디아스포라의 귀소성 연구
- 高句麗 王稱語 小考
- 語文硏究편집 및 심사규정 외
- 구비문학의 현재적 의의 찾기
- 韓中詩經論의 편집비평 연구
- 박용래 문학의 아이텐티티 연구
- 이광수의 내선일체 논리 연구
- 윤동주 산문 연구
- 오수연 연작 『부엌』의 원형성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