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비문학의 현재적 의의 찾기
이용수 358
- 영문명
- Finding a Contemporary Meaning of Oral Literatur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심우장(Woo-jang, S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9輯, 137~1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rough a comtemporary animation film Shrek, We will find out a contemporary meaning of , an epic narrative shamanic song. Shrek is a core culture code to understand current culture. So, a comparative study on aesthetic category between Shrek and Princess Bari, is the work to understand Princess Bari from current culture point of view. And it will be a kind of study on finding a contemporary meaning of oral literature.
From the starting of 21st century, there are a lot of assertions to pursue cultural variety. In company with the media change, we must free ourselves from bondage of narrow literary mind. It is the Shrek that can give us a new possibility of digital storytelling. Shrek surpassed Walt Disney style in storytelling, that is to say, a beautiful, kind and lofty character and story.
Shrek gives us a new point of view to understand Princess Bari. It is a grotesqueness. Shrek and Princess Bari shows a lot of grotesqueness, for example, grotesque character(monster), grotesque behavior, grotesque storyline, and grotesque morality. Grotesqueness always has an ambivalence and that is the virtue of grotesqueness. Through these grotesqueness, Princess Bari pursues a new cognition in a matter of life and death.
I believe that this is not yet a new methodology to understand oral literature in 21st century, but this can be a way to find a contemporary meaning of oral literature.
목차
1. 구비문학 연구의 방향
2. <슈렉>과 <바리공주>
3. 그로테스크의 미학
4. 구비문학의 현재성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사량의 <노마만리> 연구
- 한국어교재에서 나타난 명사 관련 문법 형태의 영어설명에 대한 고찰
- 대전 유성구 성북동 동제 고찰
- <救龍談>의 사적 전개와 변이
- 한국시의 탈근대적 재현 연구
- 러시아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 竹泉 趙最壽의 燕行錄과 對淸意識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서울’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 나타난 간도의 이주와 디아스포라의 귀소성 연구
- 高句麗 王稱語 小考
- 語文硏究편집 및 심사규정 외
- 구비문학의 현재적 의의 찾기
- 韓中詩經論의 편집비평 연구
- 박용래 문학의 아이텐티티 연구
- 이광수의 내선일체 논리 연구
- 윤동주 산문 연구
- 오수연 연작 『부엌』의 원형성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