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사적 공간과 문학의 내면 공간

이용수 553

영문명
Modern personal space & internal space in Korean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재봉(Lee, Jae-Bo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0집, 379~41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문학은 사적 공간을 고려하지 않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서구의 경우 19세기 부르주아 계층의 발달로 가족, 부부관계, 어린이 등의 개념과 함께 주거공간이 분화․재배치되면서 사적 공간이 등장했지만 부르주아 계층의 발달을 기대하기 어려웠던 근대 초기 조선은 사정이 달랐다. 근대 초기 조선에서는 ‘근대’, ‘문명’ 등과 ‘학교’라는 제도적 변화가 생활조건을 변화시켰고 근대문학에서 중요한 사적 공간도 이와 관련하여 등장하게 된다. 기숙사, 특히 하숙방이 그것이다. 기숙사의 경우 때때로 사적 공간으로 기능하기도 했지만 그것은 기본적으로 공동생활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규칙과 규율로 통제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반면 기숙사는 일정한 계약 조건 아래 획득되며 물리적․심리적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사적 공간의 특성을 상당히 지니면서 근대문학에 간여하게 된다. 하숙방은 집 안의 다른 공간과 분리되어 있는, 유학생의 개성을 나타내는 독립적 공간이었다. 하숙방에서는 고독한 유학생의 내면이 탐색되고 지적․정서적으로 친밀한 사람들과 내밀성이 교환된다. 그리고 유학생들은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투르게네프, 고리키 등의 시선 아래 하숙방에서 근대의 문학 작품을 읽고 일기나 편지, 소설 등을 쓰고 있었다. 따라서 하숙방은 당시 유학생들의 내면과 문학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공간이었고 이와 같은 공간을 소유했던 유학생들은 다시 고향에 가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하숙방과 같은 공간을 분할해 내지 못한 고향은 더 이상 낯익고 친숙한 공간이 아니라 과거의 공간이고 돌아가기 힘든 곳으로 변해버렸다. 태어나고, 가족이 있는 공간이 모두의 시선 아래 노출된 공간이며 따라서 정서적으로 이미 절연된 공간으로 변해버린 까닭이다.

영문 초록

In explaining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personal spa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western literature, the personal space appeared while the living space was divided and relocated with the concepts of family, the relations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the child, which was formed by the development of the bourgeoisie in 19 century. In Choseon Dynasty of the early modern era, however, the situations were different. In Choseon Dynasty, the concepts of ‘modern’ and ‘culture’ and the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caused the change of living conditions, resulting the appearance of personal space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main space was the dormitory, especially the boarding house. The dormitory functioned as the personal space, but it had some limitations in that it was the controlled space with regulations and rules as it was basically the common living space. In the other hand, the boarding room, which was obtained under certain conditions of contract, was related to the modern literature as the personal space retaining som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The rented room, which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space of the boarding house, was the independent space meaning the resident's personality. In the boarding room, the lonely student away from home was introspected and the intimacy with the intimate was exchanged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The students were reading Tolstoy, Dostoevsky, Turgenev, or Gorky etc. or writing diary, letter, or novel. And thus the boarding room was the main space where the spirit and literature of the students were formed. The students living in this space were under the situations that they could not go back to their hometown. The hometown, where it was impossible to obtain the independent space like the boarding room, was not familiar and acquainted space any more. It was the space of past and the place where they could not go back. Because the space in which they were born and their family was living was exposed under the eyes of everybody and it was changed into the space emotionally unfamiliar with them.

목차

Ⅰ. 사적 영역, 공적 영역
Ⅱ. 기숙사․하숙방의 등장과 사적 공간
Ⅲ. 하숙방이라는 문학 공간, 근대문학의 공간 분할
Ⅳ.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봉(Lee, Jae-Bong). (2008).근대 사적 공간과 문학의 내면 공간. 한국문학논총, 50 , 379-415

MLA

이재봉(Lee, Jae-Bong). "근대 사적 공간과 문학의 내면 공간." 한국문학논총, 50.(2008): 379-4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